사형-종신형, 어떤게 더 잔인한가

  • 입력 2005년 6월 29일 14시 24분


국회에서 논의 중인 사형제폐지법안과 관련해 법무부가 “종신형은 또 다른 인권침해”라고 반박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열린우리당 유인태(柳寅泰·57) 의원은 ‘인권 보호를 위해 사형을 폐지하고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도입하자’는 내용의 새 법안을 발의했다.

이에 대해 법무부는 “가석방 없는 종신형은 수형자에게 무한 고통을 가하는 것으로 인권존중에 반하고 행형의 목적인 교정·교화와 조화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법조계 및 학계에서도 4인4색의 다양한 논란이 벌어지고있다.


사형제를 종신형으로 바꾸자는 유의원의 의견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찬성
반대
잘모르겠다


▶ 난 이렇게 본다(의견쓰기)
▶ “이미 투표하셨습니다” 문구 안내

▽“종신제 반대, 사형 찬성”=동국대 김상겸(金相謙·47·사진) 교수는 “사형보다는 평생 좁은 감방에서 희망 없이 지내는 것이 훨씬 비인간적”이라며 종신제를 반대했다.

그는 “뇌사에 관한 법률에서 정신이 죽으면 육체에 사망선고를 내리듯, 생명은 정신과 육체의 결합”이라며 “정신적인 사형인 종신형이 육체적인 사형보다 더 인권 보호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김 교수는 “사형제는 오랜 인류 역사상 어쩔 수 없이 마련된 필요악”이라며 “오히려 사형제를 폐지하면 (피해자인)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경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종신제 찬성, 사형 찬성”=하창우(河昌佑·50·사진) 변호사는 “사형제가 더 잔인한 처벌이지 무슨 소리냐”며 “법무부 답변은 한마디로 웃기는 소리”라고 말했다.

그는 “흉악범에게는 합당한 처벌을 해야 한다”며 “200년형, 300년형 등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도입하는 것은 찬성하지만 이것도 사형제와 병행해서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변호사는 “사형제를 폐지하는 대신 종신제를 도입하면 수형자를 또 다른 범죄자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라며 “미국에서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던 수감자가 ‘아무리 죄를 저질러도 죽지 않는다’는 이유로 동료 수감자 2명을 무참히 살해했다”고 말했다.

▽“종신제 찬성, 사형 반대”=30여년간 서울구치소에서 자원봉사를 한 이상혁(李相赫·70·사진) 변호사는 “감형 없이 교도소에 갇혀 있더라도 사형보다는 괜찮은 제도”라고 유인태 의원의 제안에 동의했다.

이 변호사는 “사형수는 매일 죽음 속에서 산다”며 “언제 죽는다는 강박관념 속에서 아침을 맞이하는 것은 엄청난 고통”이라고 했다.

그는 “제가 만난 40~50명의 사형수들의 한결같은 소망은 ‘살고 싶다’였다”며 “한 사형수가 같은 방 죄수를 폭행해서 ‘왜 그랬느냐’고 물었더니, ‘저 좀 재판받게 해주세요, 한 달이라도 마음 놓고 살고 싶어요.’라고 했다”고 말했다.

▽“종신제 반대, 사형 반대”=사형제 폐지론자 고려대 김일수(金日秀·59·사진) 교수는 “가석방이나 감형 없는 종신형도 사형제 못지않은 악형”이라며 반대했다.

김 교수는 “사형 대신 종신형을 선고하고 나중에 교정 효과를 봐서 가석방해야 한다”며 “재범이 염려되면 가석방 후 보안처분을 하는 등의 사회 안정망을 구축하면 된다”고 제안했다.

그는 “감형 없는 종신제는 사형제도의 폐지에 대해 국민들이 느끼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나온 솔직하지 못한 제도”라며 “수감자가 절망 상태에 있게 되면 교도행정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phoeb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사형제 폐지?존치?…기로에 선 60인의 사형수 ▼

최근 국회의원 175명이 발의한 ‘사형폐지특별법’이 국회에 정식 상정돼 논의를 기다리고 있다. 이 때문에 ‘사형제 폐지법안’을 둘러싼 논란도 다시 커질 전망이다.

지난주 ‘연쇄 살해범’ 유영철의 사형이 확정되면서 우리나라의 사형수들은 총 60명으로 늘어났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퇴임하기 직전인 1997년 12월30일 한꺼번에 사형수 23명의 사형 이후 집행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누가 사형 선고를 받을까.

이들 사형수는 전원 살인범죄자들이다. 이중 48명은 2명 이상을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3명 이상 살해자는 21명, 10명 이상 살해자는 유영철을 포함해 3명이다. 1명을 살해한 경우도 유괴살해나 시신훼손, 강간살인, 존속살해 등을 저지른 경우다.

사형수들은 대부분 반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유영철도 법정에서 “너무 일찍 붙잡혔다”고 말했다. 자수했는데도 사형이 선고된 경우는 없었다.

지난 2003년 자신과 여자친구의 신용카드 빚 7000만원을 갚아주지 않는다며 어머니와 할머니를 목 졸라 살해하고, 형을 흉기로 15차례나 찌른 뒤 아버지까지 유인해 죽이려다 실패한 패륜아들은 지난해 6월 대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됐다. 그는 범행 후 여자친구에게 “오늘 식구들 작업했다가 실패했어”라고 태연히 이메일을 보냈다.

2002년 9월에는 부녀자만을 골라 강도·강간을 일삼으며 자신의 얼굴을 봤다는 이유로 3명을 잔혹하게 살해하고 사체를 유기한 30대 살인범의 사형이 확정됐다. 그는 살해한 피해자를 승용차 트렁크에 3일간 싣고 다니면서 가족과 나들이를 하고 외식을 즐기는 등 도덕적 의식이 마비된 듯한 모습을 보였다.

같은 해 2월에는 일가족을 한꺼번에 살해한 사람이 사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40대 김모 씨는 10년 동안 의붓딸(20)을 성추행한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집행유예로 풀려난 그는 아내 집을 찾아가 잠자던 일가족 4명을 둔기로 내리쳐 살해했다. 김 씨의 친아들과 친딸도 함께였다.

2001년에는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내연녀와 짜고 내연녀의 남편을 살해한 뒤 내연녀까지 살해하고 자신의 아내도 살해하려다 중상을 입힌 30대 남자에게 사형이 확정됐다.

1996년 귀가하던 술집 여주인을 납치해 산 채로 땅에 묻어 살해한 ‘막가파’의 두목도 사형 대기 중이다. 같은 해 여름 남태평양의 참치 잡이 어선 페스카마호에서 한국인 선장을 비롯해 조선족, 인도네시아 선원 등 11명을 살해해 수장한 해상강도 살인사건의 주범 역시 사형이 확정됐다.

종교 문제로 살인을 저지른 경우도 있었다. 대법원은 지난해 9월 교주의 지시로 영생교를 이탈하거나 비방한 신도 6명을 살해해 야산에 암매장한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은 사람도 있었다. 92년 말 사형이 확정돼 사형 대기자로 12년8개월을 보내고 있는 한 사형수는 부인이 종교에 빠져 가정을 등한시한다며 해당 종교회관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러 15명을 사망케했다.

◇적극적인 교화 노력 있으면 무기징역

재판부는 피고인에게 교화의 기미가 있거나, 피해자와 화해를 하면 사형을 선고하지는 않는다. 또한 범행 당시의 피고인의 심신 상태도 체크한다.

지난 2월 대법원은 내연녀 폭행 혐의로 자신을 체포하려던 경찰관 2명을 살해한 이모 씨에게 “교화의 여지가 남아 있다”며 사형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무기징역을 선고한 바 있다.

2001년에는 부모를 토막 살해한 뒤 시신을 버린 혐의로 구속 기소된 명문대생 이모 씨에게 무기징역이 선고됐다. 재판부는 이씨가 “부모의 무관심과 학대로 인해 범행당시 극도의 불안감과 피해의식 등 심신장애 상태였던 점이 인정된다”고 밝혔다.

1975년 ‘인혁당 사건’처럼 이른바 사상범 사형수는 현재 단 한 명도 없다. 여성사형수도 없다. 원래 2명의 여성사형수가 있었으나 김대중 정부 때 모두 무기징역으로 감형됐다.

◇사형 집행 미뤄지고 감형 늘어나

최근 들어 사형에 대한 감형이 늘어나면서 사형 선고 역시 줄고 있다.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피고인은 1996년에는 23명, 2000년 20명, 2004년 8명으로 감소했다.

얼마 전 신생아를 납치하고 친모를 살해한 범인들에게 법원은 무기징역을 선고한 바 있다. 재판부는 “살인의 주범인 김씨와 박씨는 검찰의 구형한 사형이 적정하다고 판단되지만 생명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법원으로선 둘을 영원히 사회에서 격리 한다”고 밝혔다.

사형 선고 자제 분위기 속에서 국회에 상정된 ‘사형제폐지 법안’의 처리 결과도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여론은 여전히 사형제의 존치를 원하고 있어 처리가 쉽지는 않을 전망.

김진표 부총리는 지난 10일 “아직도 전체 국민의 2/3 가까운 국민들이 사형제 폐지에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사형제 존폐를 둘러싼 정치권과 정부의 논의가 결론이 나기 전까지는 유씨 등 사형수들의 사형집행은 더 미뤄질 전망이다.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phoeb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