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 본부장님, 그렇게 말씀하시면 저 너무 서운해요. 제가 이 회사에 얼마나 열정을 쏟아 부었는지 잘 아시잖아요.
본부장: 알죠. 앞으로는 그럴 수 없다는 것도 잘 알고….
최근 방영된 TV드라마의 한 장면이다. 유능한 팀장에게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정답은 임신이다. 신혼인 팀장이 임신했다는 소식을 들은 상사는 일방적으로 그를 업무에서 배제했다. 팀장은 끝내 남편 앞에서 눈물을 왈칵 쏟았다.
“내가 벌어 먹여 살리겠다”며 위로하는 남편에게 팀장은 버럭 소리를 지른다. “그렇게 이해를 못하겠어요? 돈을 못 벌까 봐 걱정하는 게 아니라 ‘내 일’을 하고 싶은 거라고요.” 평소 착한 친구를 괴롭히는 얄미운 캐릭터였지만, 그 순간만큼은 그가 안쓰러웠다.
앞으로 팀장에게 어떤 일이 벌어질까. 주변의 ‘워킹맘’들을 살펴보면 미래가 그리 밝지만은 않을 것 같다. 한국 사회에서 육아 부담은 여전히 여성의 몫이기 때문이다. 일하는 엄마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슈퍼우먼’이 따로 없다. 회사 일에 시달리다 퇴근한 뒤 아이를 챙기고 밀린 집안일까지 하려면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란다고 한다. 오죽하면 ‘독박육아’라는 신조어가 나왔을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자신의 삶을 일정 부분 포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조남주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에 등장하는 부부의 대화는 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아이를 낳자는 남편의 말에 아내는 그로 인해 잃게 될 것들을 떠올리며 주저한다. “나는 지금의 젊음도, 건강도, 직장 동료 친구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도, 계획도, 미래도 다 잃을지 몰라. 그래서 자꾸 잃는 걸 생각하게 돼. 근데 오빠는 뭘 잃게 돼?”
아내가 다그치자 말문이 막힌 남편은 더듬더듬 말한다. “나, 나도 지금 같지는 않겠지. 아무래도 집에 일찍 와야 하니까 친구들도 잘 못 만날 거고. 회식이나 야근도 편하게 못 할 거고. 일하고 와서 집안일 도우려면 피곤할 거고. 그리고 그, 너랑 우리 애랑, 가장으로서…그래 부양! 부양하려면 책임감도 엄청 클 거고.”
일하는 엄마의 고통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어머니의 날’을 맞아 페이스북에 “어머니가 되는 것은 가장 보람된 일이지만 가장 힘든 일이기도 하다. 자녀를 둔 여성의 40%가 일하고 있지만 이들이 다니기 좋은 직장은 그리 많지 않다”고 글을 올렸다.
문제는 희생을 모성애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는 현실이다. 이스라엘의 사회학자인 오나 도나스는 저서 ‘엄마됨을 후회함(Regretting Motherhood)’에서 여성에게 희생과 헌신을 당연하게 요구하는 사회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 책은 엄마가 된 것을 후회한 적이 있는 여성 23명을 심층 인터뷰해 분석한 결과물이다. 인터뷰에 응한 여성들은 자녀를 낳은 것이 아니라 엄마라는 역할을 떠맡은 것에 대해 후회했다. 그리고 이런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금기처럼 여겼다. 저자는 이 같은 현상을 특별한 소수가 겪는 개인적 문제로 치부해선 안 된다고 강조한다.
엄마가 된 것을 후회하게 만드는 사회에서 저출산 문제는 영원히 풀 수 없는 고차방정식이다. 여성에게 과도한 육아 부담을 지우는 사회적 구조가 해결되지 않으면 정부가 아무리 좋은 정책을 쏟아내도 헛수고다. 무엇보다 인식의 변화가 시급하다. 미래 세대를 길러내는 일은 여성만이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