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원장 “유료방송 합산규제 유지는 여야합의 필요”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3월 15일 03시 00분


폐지 입장에서 한발 물러서


“신문과 방송이 없어질까요? 저널리즘 자체가 죽는 건 아닙니다. 감시와 해석 등 언론 본연의 기능은 갈수록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사진)이 1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여기자협회 주최로 열린 제5회 여기자포럼에 참석해 ‘언론의 변치 않는 기능’을 강조했다. 현대 사회의 환경이 복잡해진 만큼 더욱 전문적인 감시가 필요하고 가짜 뉴스인지 아닌지, 정책의 저의가 무엇인지 등 뉴스 수용자에 대한 해설가로서의 기능이 더 중요해진다는 뜻이었다.

이 위원장은 팩트체크도 없이 정치인들의 말을 퍼나르는 인용 보도 행태에 대해 일침을 날렸다. 그는 “정치 공방 발언을 진실인지 검증도 없이 따옴표를 붙여 그대로 옮기는 건 가짜 뉴스(fake news)”라며 “언론은 팩트체크를 통해 공동체 공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뉴스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 기사에서 ‘낚는 제목’을 달기보다 더 훌륭한 환경 감시와 해석으로 승부를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주목되는 로봇 저널리즘에 대해서는 “인간 저널리스트보다 팩트 수집은 빠를 수 있으나 스트레이트를 넘어서는 윤리적 판단, 비판적 사고는 인간의 몫”이라며 “범람하는 정보속에서 진실을 밝혀내는 비판적 사고와 심층보도 능력이 (저널리스트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해 공짜로 제공되는 콘텐츠 소비행태도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주문형비디오(VOD) 등 저널리즘 형식이 바뀌면 기사에 광고가 붙고 적정한 콘텐츠 비용을 받을 ‘기회’가 된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뉴스가 일반화되면서 (신문과 방송 등) 전통적 플랫폼에서의 수익 창출이 어려워졌다”면서도 “수익모델의 위기이지 저널리즘의 위기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기성 언론의 변화 사례로 든 미국 뉴욕타임스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지난해 디지털 유료 독자 수 220만 명을 확보했다. ‘헬리오그래프’라는 AI 플랫폼을 통해 지역 고교 풋볼 경기 등 지역 특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워싱턴포스트의 실험과 인스타그램 전용으로 15초짜리 동영상 뉴스서비스를 제공 중인 BBC의 사례도 소개됐다.

지난달 법률 일몰(폐지) 입장을 냈던 유료방송 합산규제에 대해서는 “개인적 의견이었을 뿐”이라며 한발 물러섰다. 이 위원장은 “(유료방송 합산규제 문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판단하고 이후 방통위가 동의하는 형식이라 간단하게 이야기할 수 없는 문제”라며 “여야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분간 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유료방송 합산규제는 케이블TV, 인터넷TV(IPTV) 등 유료방송 사업자의 특수관계자를 포함한 특정 사업자의 가입자가 전체의 3분의 1(33.33%)을 넘지 못하게 한 제도로, 2015년 6월부터 3년 일몰(日沒)로 시행됐다.

신동진 shine@donga.com·김재희 기자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유료방송#언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