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8년차 北김정은 신년사는…핵·북미·남북관계 주목

  • 뉴스1
  • 입력 2018년 12월 25일 11시 59분


대미·대남기조 유지 전망
경제분야 성과 적극 독려하며 주민 결집 꾀할 듯

올해 1월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를 시청하고 있다. 2018.1.1/뉴스1 © News1
올해 1월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를 시청하고 있다. 2018.1.1/뉴스1 © News1
지난 6월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미 관계가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미국 정부의 대화 제안에도 ‘묵묵무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놓을 2019년 신년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은 매년 신년사를 통해 그해에 반드시 집행할 과업들을 예고해왔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는 주시해왔다.

신년사는 주로 Δ정치·군사 Δ경제 Δ사회 Δ대남 Δ대외 분야 순으로 진행된다.

가장 눈여겨볼 점은 대외 분야다. 올해 남북·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의 급격한 정세 변화가 이뤄졌지만 최근 비핵화 협상이 ‘삐걱’거리고 있어 김 위원장의 대외 메시지가 최대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대북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큰 틀에서 북미 관계와 비핵화 협상, 남북관계를 지속해 이어가겠다는 원칙적 입장을 천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인도적 지원 재개 의향 등 미국의 메시지에 대한 북한 측의 답변도 담길 수 있다.

남북관계와 관련해선 새로운 제안을 내놓기보다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의 성실한 이행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문근식 한국국방안보포럼 대외협력국장은 “남북 경협을 더 강조하면서 경제적 지원에 따라 비핵화의 속도를 높여 추진하겠다는 다짐이 나올 수 있다”며 “남북, 북미 정상간 합의사항에 대해서도 기존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경제 발전이라는 목적을 두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를 요구하면서 이와 연계해 비핵화 협상에도 적극적으로 임할 것을 약속해 대미·대남 관계를 계속 우호적으로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핵 단추가 내 사무실 책상 위에 놓여 있다”며 미국을 향해 위협했던 올해 신년사와 달리 전향적 대화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26일 열릴 남북 철도·도로 연결과 현대화 착공식을 위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협의 절차가 완료되는 등 미국이 남북 교류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최근 상황도 북한이 유화적인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연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됐던 김 위원장의 답방 문제의 경우 직접 신년사를 통해 언급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존 합의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강조하면서 내년 초께 남측 방문 의사가 있음을 우회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대내적으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로 생활고를 겪고 있는 주민들을 향해 ‘민생경제’ ‘자력갱생’ 메시지로 주민 단속과 내부 결속을 거듭 강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내년은 2016년 5월 제7차 당대회에서 채택한 ‘국가경제 발전 5개년 전략’의 네 번째 해라는 점에서 경제 분야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독려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이 과정에서 미진한 경제 분야 성과의 책임을 남한과 미국 탓으로 돌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비핵화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외부의 지원 부족으로 경제 발전이 더디다고 지적할 수 있다.

문 국장은 “경제발전이 더딘 것을 대북제재와 부족한 남북경협에서 탓으로 돌리며 남한과 미국에 책임을 전가할 수 있다”며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재를 풀어주고 지원을 해줄 때 빠른 시간 내에 인민들이 잘 먹고 잘 살 수 있게 된다고 강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내년은 최고인민회의 제14기 대의원 선거와 노동당 창건 75주년을 앞두고 있어 김 위원장은 인민들을 향해 ‘내부 결속’을 강력하게 언급할 가능성도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