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이상 재산신고 고위공직자 8명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3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1873명 평균 12억900만원
진선미 장관-13억 가장 적어… 윤석열 지검장 65억 검찰 1위
靑-장차관-권력기관장 30% 넘게 본인-배우자 명의 주택 2채 이상


정부 고위공직자의 재산이 지난 1년간 평균 5900만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신고 재산은 12억900만 원이었다.

이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0시에 공개한 공무원 재산공개 대상자 1873명의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 명세에 따른 것이다. 재산공개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검사장급 이상, 국립대 총장·부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등이다.

고위공직자의 재산 증가는 토지나 주택의 공시가격 상승(평균 1900만 원)과 급여저축, 상속 등으로 인한 예금 증가(평균 4000만 원)에 기인했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청와대 고위공직자는 평균 18억830만 원,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은 평균 15억7937만 원을 신고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는 허성주 서울대 치과병원장으로 210억2043만 원이었다. 허 병원장과 함께 재산이 100억 원 이상인 공직자는 성중기 서울시의원(129억4432만 원), 문용식 한국정보화진흥원장(123억3988만 원), 이련주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114억421만 원),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122억1074만 원) 등 8명이었다.

기초단체장 중에서는 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81억111만 원), 지방의원으로는 성중기 의원에 이어 박영서 경북도의원(106억8326만 원)이 2위였다.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13억8697만 원을 신고해 가장 적었다. 진 장관은 채무만 17억8705만 원이었다. 박원순 서울시장(―7억3650만 원)과 오인철 충남도의원(―5억1359만 원)이 뒤를 이었다.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가운데 박윤해 대구지검장의 재산이 25억7489만 원 늘어 1년간 가장 많이 증가했다. 장인이 증여한 배우자 명의의 서울 광진구, 송파구 소재 상가 5곳(19억7431만 원) 등이 영향을 미쳤다. 박상규 전남대 부총장(10억9445만 원 증가),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9억4839만 원 증가)도 재산 증가 공직자 상위권에 올렸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24억8394만 원이 증가했는데, 신용카드 개인정보유출 소송 승소 위자료 미분배금(24억7600만 원)을 포함한 것이다. 반면 오거돈 부산시장은 전세자금 상환과 보유 주식 하락 등으로 19억9473만 원 감소했다.

사법부와 헌법재판소, 검찰 중에서는 김동오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가 206억4030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재산 상위 14명은 모두 판사였다. 헌법재판소에선 김헌정 사무처장(44억7603만 원)이 가장 많았다. 유남석 헌재소장은 19억9761만 원을 신고했다.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65억9076만 원)이 검찰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았지만 전체로는 15위였다. 문무일 검찰총장은 32억7226만 원을 신고했다.

각 부처 장차관, 주요 권력기관장 등 56명 가운데 28.5%인 16명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했다.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비서관급 이상 39명을 포함하면 다주택자 비율은 30%를 넘는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본인 명의 다세대주택 한 채와 배우자 명의 단독주택과 오피스텔 등 3채를 신고했다.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광주와 전남 담양군 등의 배우자 명의 주택 5채를 신고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 구윤철 기재부 2차관도 2채 이상을 신고했다.

홍석호 will@donga.com·이호재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