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공군 수송기로 ‘시체’를 운반했다는 군 비밀기록이 나왔다. 군인 사망자는 ‘시체’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는 점에서 5·18 당시 민간인 희생자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7일 육군본부가 1981년 6월 작성한 ‘소요진압과 그 교훈’이라는 문건을 보면 5·18 당시 공군 수송기를 이용한 지원 현황이 상세히 적혀있다.
공군은 5·18당시 수송기를 이용해 운반한 물품을 수송품목, 운항구간, 비고 등으로 구분해 기록했다.
이 중 1980년 5월25일 ‘김해~광주’를 운항한 수송기 비고란에 ‘시체(屍體)’라고 적힌 기록이 나온다.
공군 수송기가 김해로 나른 화물 중에 시체가 포함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임무 수행 중 사망한 군인은 ‘시체’라고 표현하지 않고 죽은 사람을 높여 부르는 ‘영현(英顯)’으로 기록한다.
게다가 오인 사격 등으로 사망한 23명의 군인은 5월25일과 28일 모두 성남비행장으로 옮겨졌다.
이 때문에 문건에 표기된 ‘시체’는 군인 사망자가 아닌 5·18당시 행방불명된 사람 중의 일부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5·18연구자인 노영기 조선대학교 교수는 “군인들은 ‘시체’로 표기하지도 않을뿐더러 사망자를 김해로 옮길 이유는 없다”며 “김해로 시체가 옮겨졌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추가 조사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파악된 5·18 행방불명자는 76명이지만 이 중 시신은 단 한 구도 발견되지 못했다.
1997년부터 광주에서 11번의 암매장 발굴 작업이 있었지만 한 구의 시신도 찾지 못해 여전히 행방불명 상태다.
다른 문건에선 관련 기록을 의도적으로 삭제·누락한 정황도 포착됐다.
공군이 5월21일부터 29일까지 작성한 ‘5·18 광주소요사태 상황전파자료’에는 5월25일 운송 화물에 대한 기록이 삭제됐다.
또 육군본부가 1982년 2월 편찬한 ‘계엄사’ 문건에선 ‘시체’가 기록된 5월25일 ‘김해~광주’구간 운항 기록이 아예 빠져있다.
유독 해당 일자의 기록들이 누락돼 의도적으로 계엄군에 희생된 시신을 빼돌리고 기록을 삭제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국방부 특조위 조사관으로 활동한 정문영 전남대 5·18연구소 연구원은 “특조위 당시 헬기사격여부와 전투기 출격대기 여부 진상규명에 조사가 집중돼 공군수송기 조사에는 한계가 있었다”며 “해당 문건이 공개된 만큼 공군수송기에 관한 조사도 시작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