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벤처 허브’ 성수동… 청년기업 등 320개 꿈이 커간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8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2017년 헤이그라운드 들어선 뒤 사회변화 꿈꾸는 창업가들 몰려
전국 최대 소셜벤처 생태계 구축… 내달엔 50곳 수용 2호점 문열어
“기업 협업 통한 시너지 효과 커” 청년들 주도… 일자리 창출 한몫

서울
 성동구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에 입주한 소셜 벤처기업인들이 8층 스카이라운지에 모여 교류 행사를 갖고 있다. 소셜 벤처 70여 곳이
 모인 헤이그라운드에서는 입주 기업들이 수시로 교류하며 협업 방안을 논의한다. 헤이그라운드는 현재의 ‘소셜 벤처 허브 성수동’을 
있게 한 핵심 시설이다. 루트임팩트 제공
서울 성동구 성수동 헤이그라운드에 입주한 소셜 벤처기업인들이 8층 스카이라운지에 모여 교류 행사를 갖고 있다. 소셜 벤처 70여 곳이 모인 헤이그라운드에서는 입주 기업들이 수시로 교류하며 협업 방안을 논의한다. 헤이그라운드는 현재의 ‘소셜 벤처 허브 성수동’을 있게 한 핵심 시설이다. 루트임팩트 제공
“왜 성수동이었냐고요? 고민의 시작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하는 청년들이 함께 모여서 일하기 좋은 동네가 어딜까’였죠. 몇 가지 기준을 정했어요. 너무 비싸지 않아야 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아야 하며 열린 커뮤니티 형성이 가능할 것. 성수동 문래동 신림동 혜화동 등이 후보였어요. 최종적으로 성수동을 택한 건, 입지를 고민하던 5년 전 성수동은 젊은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한 동네였고 고시촌(신림동)이나 대학로(혜화동)처럼 기존에 형성된 이미지도 강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

소셜 벤처기업 70여 개가 모인 헤이그라운드. 2017년 6월 서울 성동구 성수동 뚝섬역 인근에 헤이그라운드 문을 연 루트임팩트의 허재형 대표(37)는 “사회 변화를 꿈꾸는 청년들이 어울리면서 우리가 성수동의 색깔을 만들어 갈 수 있겠다고 기대했다”고 말했다. 소셜 벤처는 현재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과 이전 단계인 예비사회적기업 그리고 장애인 교육, 친환경 소비 같은 공익적 가치 실현이 목표인 사회혁신기업들을 아우르는 의미로 쓰인다.

현재 성수동의 모습을 본다면 허 대표의 바람은 잘 여물어가는 듯하다. 헤이그라운드가 들어선 뒤 성수동에는 소셜 벤처를 위한 여러 공간이 생겼다. 지난해 7월 문을 연 성동안심상가 4∼6층에는 소셜 벤처 21곳이 입주해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난해 9월 전국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장으로 선출됐다. 다음 달에는 소셜 벤처 50여 곳을 수용할 수 있는 헤이그라운드 2호점이 역시 성수동에서 문을 연다.

성동구는 “헤이그라운드 개소 이후 많은 젊은 사회적기업가들이 성수동에 모여들었고 성동구를 비롯해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투자에 나서면서 전국 최대 규모의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구축됐다”고 밝혔다. 소셜 벤처를 포함해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성동구의 사회적경제조직은 2015년 143개에서 올해 5월 기준 320개로 늘었다.

일반 기업에 비해 소셜 벤처는 지역적인 기반이 중요하다. 소셜 벤처는 미혼모, 저소득가구 아동처럼 지역민과 직접 접촉하며 성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헤이그라운드 입주 기업이자 소셜 벤처 투자 및 육성 사업을 하는 MYSC 김정태 대표(42)는 “성수동 정도의 소셜 벤처 커뮤니티가 생겼다는 것은 이제 한국에서도 소셜 벤처가 본격적으로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헤이그라운드 2호점 입주를 앞둔 키뮤 남장원 대표(37)는 “소셜 벤처 기업인들은 일반 기업인들보다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보니 함께 모인 곳에서 사업 진행이 수월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키뮤는 발달장애인에게 디자이너 교육을 시키고 그들이 만든 제품을 상품화한다. 발달장애인은 지적 연령이 낮은 만큼 감정 연령도 낮기 때문에 성인 디자이너들이 구현 못 하는 독특한 디자인을 창조한다는 게 키뮤의 설명이다. 남 대표는 성수동을 택한 이유로 “발달장애인들을 위한 교육 공간이 필수인데 일반 건물에서는 편견과 맞닥뜨릴 때가 많다. 헤이그라운드에서는 그럴 걱정이 없다”고 말했다.

소셜 벤처들이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내는 것도 많은 이들이 기대하는 부분이다. 미혼모들이 모여 쿠키를 만든다면 키뮤의 발달장애인들은 포장 디자인을 맡는다. 소셜 벤처들이 만드는 생산품과 서비스의 상품성이 높아질수록 기업의 자생력은 커진다.

성동구도 적극적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돌봄 서비스 플랫폼 사업을 하는 예비사회적기업 ‘째깍악어’는 직원이 늘어 사무실을 헤이그라운드에서 성동안심상가로 옮겼다. 그때 성동구로부터 관내 돌봄서비스 기관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를 만들면 어떻겠냐는 제안을 받았다. 박현호 째깍악어 이사는 “성동구는 공간 제공처럼 물리적 지원에 그치지 않고 소셜 벤처들이 사회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여러 기회와 아이디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소셜 벤처 허브’의 성수동 알리미를 자처하는 정원오 구청장은 소셜 벤처를 주도하는 주체가 청년이라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했다.

“청년들이 기존에 없던 아이디어로 창업을 하고 일자리를 만들고 있어요. 2000년대 붐이 일었던 벤처기업들처럼 소셜 벤처들도 새로운 경제 영역을 창출하는 겁니다. 그것도 그동안 소외됐던 사람들이 잘사는 쪽으로 말이죠.”

한우신 기자 hanwshin@donga.com
#서울#성수동#소셜벤처#청년#일자리#창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