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투자자로 살아간다. 투자자로서 바라보는 세상에 대해 함께 이야기했으면 한다. 투자자 입장에서 우리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고, 왜 우리가 투자하면서 살아야 하는지 그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본다. 투자란 무엇이고, 특히 주식투자자란 누구인가. 왜 주식투자가 의미 있고 바람직한 일인가.
과학자는 자연법칙을 밝힌다. 공학자는 이것을 이용해 물건을 발명한다. 기업가는 재화와 서비스로 이윤을 창출한다. 법칙을 발견하기까지, 상품을 개발하기까지, 그리고 이것이 사업화돼 확산되기까지 분명 투자자가 있었을 텐데 어디에도 투자자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만약 기업가에게 자본이 없다면 사업을 할 수 없다. 결국 투자자가 기업가를 믿고 돈을 맡기니 투자자도 기업가다. “투자자는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기업에 자본을 대고 이익이 나면 그것을 공유한다”가 주식투자의 기본 원칙이다. 이외에 무엇이 필요한가.
주식투자의 기본 원칙
나는 인간이 만들어낸 최고 공유 시스템이 주식회사 제도와 증권시장이라고 생각한다. 기업가는 증권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받고, 그 자금을 바탕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취한다. 그리고 그 이익을 증권시장에서 자본 차익이나 배당을 통해 투자자들과 공유한다.
투자받은 기업은 납입자본에 대해 유한책임을 진다. 이러한 지점이 기업인들이 모험정신을 십분 활용해 경영 행위를 하면서 사회적 책임과 함께 견제, 감시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기업은 우리라는 사회 구성체가 없으면 존재 이유도, 의미도, 가치도 없다.
우리는 이러한 기업에 투자하고 기업에서 일하며 기업의 재화나 서비스를 사용한다. 기업은 우리 삶의 터전이다. 이러한 기업이 왕성하게 활동해야 우리 사회도 건강하고 활력 있으며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우리 앞에 놓인 경제환경은 녹록지 않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경제구조라 돌파하기도 쉽지 않다. 세계가 각자도생의 길로 접어들었다. 자국 산업이나 기업을 보호하는 국가가 많아지고 있다. 그렇다고 자본에 기초한 자유시장경제의 틀이 깨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어떻게 해야 투자에 성공할 수 있을까.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누구도 쉽게 투자하려 들지 않는다. 기업가나 자본가가 마음 놓고 투자하고 사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제는 심리’라고 했다. 새로운 일자리도 중요하지만 우리에게 더욱 중요한 것은 기존 일자리를 보존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기업가들이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고 근로자는 근로 의욕을 고취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기업가정신과 근로 의욕
세계는 인터넷으로 하나가 됐다. 세계는 넓고 투자 기회는 널려 있다. 우리의 불투명한 기업 지배구조의 원인이 되는 상속, 증여세에 관한 문제를 원점에서 합리적으로 논쟁할 필요가 있다. 법인세와 자본소득에 대한 세금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돈이 돌고 돈이 일하게 해 경제적 파이를 키워 세수를 확대하는 통 큰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우리나라에서 사업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다면 누가 투자하고 기업을 운영하려 하겠는가. 투자 환경이 좋지 않으면 돈이 나가고, 돈이 나가면 사람도 나가고, 사람이 나가면 기업도 나간다. 우리의 삶의 터전이 없어지는 것이다. 지금이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시기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증권시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저평가돼 있다. 사람들은 길게 투자하려 들지 않는다. 그래서 쉽게 사고파는 머니게임 형태로 증권시장이 흘러가고 있다. 정작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자금이 모이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주식투자자로서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하지만 이는 투자자에게 기회이기도 하다. 우리의 삶이 지속되는 한 기업의 활동은 이어질 테고, 지금의 어려움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것이라 믿는다. 사람들은 미래에 대한 기대나 희망으로 투자를 한다. 그러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이들이 세상을 이끌어왔다.
이번 부산 투자특강에서는 30여 년간 자본시장과 함께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내용을 투자자들과 공유했으면 한다. 더불어 파생상품 중심의 투기적인 거래와 불공정한 공매도 제도 등 우리 자본시장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과 지배주주의 사기업화, 쥐꼬리 배당, 형식뿐인 주주총회 등 지배주주 중심으로 움직이는 우리 기업문화에 대해서도 의견을 구했으면 한다.
또한 오늘날 주식농부를 있게 한 ‘농심투자법’을 통해 그동안 동행하고 소통해온 기업들을 어떤 관점에서 선택하고 투자해왔는지 소상하게 밝힐 예정이다. ‘우리는 한류 콘텐츠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한국경제TV도 아프리카TV가 될 수 있을까. 참좋은여행은 어떻게 강자들 사이에서 살아남았나. 삼천리자전거는 어떤 모습으로 변모할까. 미래 자동차는 어떤 모습일까.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중국인이 회를 먹기 시작했는데 넘쳐나는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제시하면서 ‘여성들은 따뜻한 겨울을 원한다. 사진 찍으러 오는 손님들, 인테리어가 곧 돈이다. 온라인마켓 성장의 숨은 일꾼. 저성장의 근본적인 해결책, 통일은 대박이다’ 등에서도 의견을 공유할 예정이다. 끝으로 왜 ‘한 가족 한 기업 갖기 운동’(일가 일사 운동)을 하고 있는지도 소상히 밝힐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