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여야정 “의료계 합류해야 협의체 출발 가능”
2024.09.10
아침 7시 반,
동아일보 부국장이 독자 여러분께 오늘의 가장 중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동아일보 편집국 정원수 부국장입니다.
 
여야 원내대표가 어제 국회의장실에서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여야의정 4자 협의체’ 구성을 위한 첫 회동을 했습니다. 회의 직후 여야는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가 동참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함께 의료계를 설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등 여당 지도부는 추석 연휴 전에 협의체 첫 회의를 해야 한다며 대한의사협회, 전국의대교수협의회, 대한전공의협회 등 의사단체들과 접촉해 의견을 들었다고 합니다. 한 대표는 정부를 향해 “전공의에 대한 소환 등 사법적 대응을 신중하게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의사단체와의 대화와 타협이 먼저”라며 정부 여당을 향해 설득을 촉구했습니다. 민주당은 의료계가 요구한 2025학년 정원 문제도 협의체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최근 원점 검토 등을 언급한 대통령실도 “의료계를 최대한 설득해 여야의정 협의체가 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특히 대통령실 관계자는 2026학년도 증원 문제에 대해 “의료계가 협의체에 참여하면 증원 0명부터 논의할 수도 있다. 의료계도 열린 자세로 대화에 임했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의료계의 2025학년 증원 백지화 요구에 대해 대통령실은 “9일부터 이미 대입 수시접수가 시작돼 대입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어렵고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의료계가 ‘2025, 2026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협의체 참여 전제조건으로 내건 상황에서 의료계가 협의체에 참여하면 2026학년도 증원 유예 문제를 대화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유연한 태도를 보인 겁니다.

이런 가운데 의료계의 입장 변화가 주목됩니다. 어제까지는 대통령실과 여당의 제안을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가 우세합니다. “2025학년도 증원에 교수를 늘리면 되돌릴 수 없다”는 겁니다. 만약 의료계가 협의체에 참여한다고 하더라도 누가 참여할지 정하는 것부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법정단체는 의협이지만 개원의, 전공의 등의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통일된 의견을 내기 어렵다는 겁니다. 다만 의료계도 여론 악화 등을 우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참여 여지가 전혀 없는 건 아니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결국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얼마나 진정성 있게 설득하느냐에 따라서 의료계의 태도도 달라질 수 있을 겁니다.


다르게 생각하면, ‘그 브랜드가 왜 생겼는가’는 ‘그 브랜드는 고객의 마음을 얼마나 잘 읽고 있는가’와 같은 물음일 겁니다.
우리나라도 이제 하나씩 하나씩 그런 브랜드가 나오고 있는 점은 다행입니다.
정부든 의료계든, 이제는 실력행사로 버틸 때가 아닌 상황이 됐습니다.
이대로는 의료계가 정상화돼도, 내부 후폭풍이 만만찮을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부채 증가의 어두운 그림자가 20대 청년들에게까지 드리우고 있습니다.
오직 동아일보에서만 볼 수 있는 새로운 시선, 끈질긴 취재의 결과물을 선보입니다.
서로 ‘꼬붕’ ‘빌런’ ‘또라이’라는 국회 [김지현의 정치언락]
“여야 의원 여러분, 제가 국민들부터 자주 듣는 얘기가 있습니다. ‘국회의원들은 우리보다 많이 배우고 잘난 사람들 아닌가.
동아일보 칼럼을 통해 본 오늘, 세상
[이철희 칼럼]‘리베로 특보’가 필요해 안보실장을 뺐다는데
H R 맥매스터 전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최근 펴낸 회고록 ‘우리 자신과의 전쟁’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초기 13개월간 외교안보 사령탑으로 일하면서 겪은 성취와 실망, 분투의 기록이다. 책에는 성과와 보람, 자부심보다는 좌절과 모욕, 회한이 진하게 배어 있다.
매일 아침 일곱시 반
당신이 꼭 읽어야 할
동아일보 주요 뉴스를 전합니다.
지난 레터 보기 & 주변에 구독 추천하기

뉴스레터 구독 해지

뉴스레터 및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위해 뉴스레터 및 마케팅 정보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