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자노트]김세원/『먼 미래를 봅시다』

  • 입력 1997년 7월 17일 08시 35분


홀로 배낭여행을 해 본 사람이라면 유럽생활의 불편함을 안다. 유럽에선 여행객들이 끼니를 때우거나 물건 하나 사기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24시간편의점이나 음료자동판매기 패스트푸드점같은 편리성을 극대화한 현대 문명의 산물은 파리같은 대도시에서도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상점들은 저녁 7시 이후는 물론 점심시간과 주말에도 문을 닫는다. 집찾기도 쉬운 일은 아니다. 엄격한 건축제한 탓에 건물 외양이 비슷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뿐인가. 알아주는 호텔이라는 곳은 대개 삐걱거리는 좁은 나무계단에 엘리베이터가 멈출 때마다 덜컹거리는 고색창연한 건물일 경우가 많다. 건물에 손상을 준다는 이유로 지하주차장을 만들지 않아 대도시 주차난은 우리 못지 않게 심각하다. 『왜 사서 고생을 하느냐』는 질문에 얼마전 만난 한 프랑스 기자는 『전통과 편리성은 양립하기가 어렵다』며 『후손에게 전통을 온전히 물려주려면 불편함은 감내할 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답변에는 생활공간 자체를 유산으로 여기는 프랑스 특유의 에스프리가 깔려있다. 그래서 일까. 몽마르트르언덕이나 센강 주변, 오페라거리 등 파리 곳곳의 풍경은 낡은 사진이나그림에 담긴 1백여 년 전 모습과별반 다르지 않다. 얼마전 적어도 1백년을 버틸 수 있는 견고한 다리를 만들었다는 성수대교 복구공사 담당자의 말을 신문에서 읽은 적이 있다. 처음에는 고개를 끄덕이다가 그게 아니지 싶었다. 굳이 문화재나 유적이 아니더라도 유럽의 웬만한 건물이나 다리는 1백년이나 2백년 이상 된 것들이 많다. 그런데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11만2천여명의 연인원과 현대의 첨단기술을 동원해 2년3개월만에 완공한 다리가 고작 1백년 앞을 내다보고 만들어진 것이라니. 떠올리는 미래가 기껏해야 1백년 후인 우리의 단견(短見)이 편리함만을 추구하는 이기심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격동의 우리 현대사 탓인지는 몰라도 아무튼 부끄러웠다. 당장의 편리함, 눈앞에 닥치는 현실만을 쫓는 사람들에겐 미래가 없다. 진정한 선진국이 되려면 공간적으로 시야를 넓히는 「세계화」 못지않게 시간적으로 먼 미래까지 내다보는 「미래화」도 필요한게 아닐까. 김세원<문화부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