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을 열며]이재정/숲속으로 떠난 노숙자

  • 입력 1999년 3월 7일 20시 51분


서울 문래동에 있는 노숙자들을 위한 시설인 ‘서울 자유의 집’ 식구들 가운데 3백33명이 숲 가꾸는 일을 맡아 먼 길을 떠나갔다. 산림청이 실업자들을 위해 시행하는 숲가꾸기 공공근로사업에 취업을 한 것이다.

얼마나 기다리던 일자리인가. 비록 열 달 동안의 취업이지만 떠나는 사람들의 얼굴에서 전에 볼 수 없던 생기가 넘쳐흘렀다.

▼삶의 의미 배울 기회

산 좋고 물 좋은 산속에 가서 좋은 공기 마시며 나무를 가꾸는 일이 단순한 일자리 이상의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나무 한 그루 한 그루를 다루면서 소중한 생명을 키워 먼 훗날을 기약하는 작업이다. 이 일이야말로 당장 얼마의 보수를 받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노숙자들에게 삶과 생명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줄 것이다.

‘나무야 나무야’의 저자인 신영복 교수가 붓글씨로 써 놓은 ‘나무가 나무에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숲이 되어 지키자’는 글귀가 새삼스레 떠오른다. 정말 이 사람들이 다시 돌아올 때 자신보다도 더 어렵고 절망하는 다른 노숙자들을 지키는 숲이 되어주었으면 좋겠다.

서울역 지하도며 영등포역 지하도 등지에서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몇 년씩 노숙을 하던 사람들이 추운 겨울을 피해 성공회대학이 위탁 경영을 맡은 ‘서울 자유의 집’에 1천2백여명이나 모여들어 함께 살았다. 대가족 가운데서 자원자들을 골라 떠나보내고 나니 불현듯 빈 집이 되어 버린 느낌이다.

1월 4일 ‘서울 자유의 집’을 열면서 이곳에 들어오는 노숙자들에게 노숙할 때만큼 누릴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첫 날 들어온 노숙자들에게 소주 한 잔씩을 따라주며 위로와 격려를 했다.

▼술로 달랜 아픔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하루하루를 지내면서 술이 늘어갔다. 저녁이고 낮이고 술에 취해서 소리치고 부수고 싸우고 찌르는 일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하기야 술 안 마시고 무슨 기분으로 그 아픔을 이겨나가겠는가. 세끼 밥을 먹여주고 잠자리도 따뜻하지만 일자리의 보장이 없고 주머니를 뒤져봐야 담배 한 갑 살 만한 용돈도 없는 사람들이다. 어떤 방법으로든 술 안 마시고는 견딜 수가 없었을 것이다.

일부에서는 술을 숙소로 가지고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고 상습적으로 술을 마시면서 알코올 중독자가 된 사람들에게는 별도의 격리를 시켜야 한다는 강경론도 나왔다. 그러나 처음 약속대로 ‘무한’의 자유를 주기로 했다. 역시 그 판단이 옳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서울 자유의 집’이 차츰 안정을 찾아갔다. 술마시는 일 줄어들기 시작했다. 불평도 싸움도 잦아들었다. 69개 방마다 나름대로 한 가족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갔다. 축구시합도 하고 족구대회도 열면서 노숙의 때와 아픔을 거두어 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사람들이 고마운 마음을 갖게 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결실이었다.

▼시혜보다 사랑 필요

지금은 모두 한 식구처럼 참고 견디고 기대면서 살아가고 있으니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노숙자의 문제가 격리나 시혜(施惠)의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교훈을 배웠다.

이제는 우리들 차례다. 이 노숙자들에게 적당히 잠자리를 주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들에게 사랑을 주어야 한다. 이 사회가 함께 살아가는 나눔과 기쁨을 주어야 한다. 그래야 이 사회가 모두 어려움을 이기면서 희망을 가질 수 있다.

희망은 한 사람의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것이 아니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 숲으로 간 사람들이 아무쪼록 건강한 모습으로 푸른 숲이 되어 돌아와 우리에게 또 다른 희망을 주었으면 좋겠다.

이재정(성공회대 총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