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듯 가난을 편하게 여기고 그것을 실천하는 옛 인물들의 삶을 오늘의 시각에서 본다면 마냥 고개를 끄덕일 수는 없을 터이다. 하나 옛선비의 안빈낙도(安貧樂道)란 바로 공직자의 곧은 처신이자 자기 절제의 다른 표현이니 그 정신이야말로 절실하다. 아무리 부패가 일상화된 세상이라고는 하지만 한 나라의 총리라는 인물이 세금을 줄여보겠다고 자기 재산을 남의 이름으로 돌려놓았는데 그 재산도 뇌물로 마련한 것이라고 하니, 이런 얘기를 옛 선비가 들으면 무엇이라 호통칠 것인지….
▷나라안 소식이 씁쓸한데 비해 나라밖 소식은 흥미롭다.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후보로 나설 앨 고어부통령에 대해 한 경제전문잡지가 “금융적인 측면만 놓고 보면 고어는 얼간이”라고 빈정댔다는데 그 이유인 즉 앨 고어부통령이 그동안 주식투자를 안했기 때문이란다. 앨 고어는 “공인으로서 주식투자가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피해왔다”고 항변하지만 비난자들은 주식도 모르면서 국가경제를 어떻게 이끌겠느냐고 쏘아댄다.
▷하기야 요즘 우리 주위에서도 주식을 모르면 ‘얼간이’소리를 듣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는 판이니 자본주의 선진국 미국에서 장차 대통령이 되겠다는 인물이 주식을 모른다면 탓할 만도 하겠다. 그러나 고위 공직자들일수록 주식투자로 떼돈을 벌고 이른바 지도급인사라는 인물일수록 이재에 밝은 우리 사회에서 앨 고어 같은 공직자 자세에 감히 누가 ‘얼간이’ 소리를 할 수 있겠는가.
<전진우 논설위원> youngji@donga.com
구독
구독 39
구독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