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의 역사교과서 파동 이후 일본은 교과서 내용을 사실에 가깝게 개정해 왔다. 그러나 다시 그 내용이 파동 이전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문부성에 검정을 신청해 놓은 2002년도판 중학교 역사교과서는 아시아 침략 을 진출 로, 한일합병 은 합법적 조치로, 태평양전쟁은 피압박민족에게 독립에의 용기와 꿈 을 키워준 전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런 변화가 냉전 후 일본사회에서 점차 강화되고 있는 이념의 우경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정부의 국권강화 노선이 함께 맞물려 있기에 그 귀추가 주목된다.
모리총리의 독도발언은 우리를 경악케 하고 있다. 김대통령의 방일을 계기로 KBS-TV와 가진 회견에서, 모리총리는 다케시마(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서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서나 국제법상으로도 명확하게 우리나라의 고유영토라는 것이 우리의 일관된 입장 이라고 주장했다. 망언 에 익숙한 한국인들이지만 그의 발언은 한국인의 반일감정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보다 더 당혹스러운 것은 이에 대응하는 정부의 자세다. 정부는 우려 의 뜻만을 표시하고 그냥 덮어버리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교과서 왜곡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외교부는 즉각 항의하고 강도높은 비판을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
뿐만 아니라 정상회담을 눈앞에 두고 있는 일본의 총리가 독도는 우리 땅 이라고 한국의 공영방송인 KBS를 통해 주장했는데도 KBS는 정상회담에 미칠 악영향과 국익을 고려해서 보도를 삭제하는가 하면, 정부는 다만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 이라는 논평으로 끝내고 있다.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것이나 영유권 문제는 외교 이전의 보다 본질적인 민족의 자존과 국가의 신뢰에 관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그동안 일본 천황의 방한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일본측 보도에 의하면 한일정상회담에서도 한국측이 천황이 언제 한국을 방문하더라도 지장이 없도록 준비하고 있다 며 천황의 조기방한을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긴밀한 유대를 맺고 있고, 양국의 미래지향적 관계를 생각할 때 천황의 방한은 한일관계의 대전환을 의미하는 상징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합병 을 합법적 조치로 바꾸고, 일본군위안부 를 포함한 과거사 문제가 아직 미제로 남아 있고, 총리가 독도는 일본 땅 이라고 주장하는 상황이 계속하는 한 천황의 방한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한국인으로부터 환영받을 수도 없을 것이다. 천황의 방한이 구체화되기 전에, 양국 정부는 역사를 바로잡고, 미제로 남아 있는 과거사 부터 정리하는 것이 옳은 길이다.
한상일(국민대 교수·국제정치)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