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은 1954년 숭실대가 서울에 재건되던 초기에 교수로 부임하면서 숭실대와 첫 인연을 맺었다. 고인은 숭실대 철학과 초대 학과장을 맡았고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총장 재직 후 퇴임할 때까지 숭실대와 함께했다.
고인은 두 번에 걸쳐 총장에 선임될 정도로 동료 교수들의 신망을 얻었다. 1986년에 이사회에서 총장으로 선임됐지만 당시 군사독재정권의 반대로 총장에 취임하지 못했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설 당시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 회장으로 지식인 선언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5년간 해직됐던 경력이 문제가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9년 숭실대 교수협의회에서 다시 총장으로 선출됐고 결국 두번 만에 총장으로 임명돼 1993년까지 재직했다.
그러나 고인의 진면목은 대학 총장보다는 예술철학자로서의 연구활동에 있었다.
그는 학생시절 화가 김환기의 집에 하숙을 하면서 예술에 눈을 뜨게 됐고, 그의 관심은 서양고대철학 중에서도 예술철학에 집중됐다. 이 인연으로 1988∼1996년 환기미술관 초대이사장을 맡기도 했다. 그는 예술철학을 연구하면서 한국 미(美)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탐구해 이를 철학적으로 체계화하려 애써 왔다.
고인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독실한 신앙인으로서의 자세다. 그는 서울 동작구 흑석동 베델교회 장로로서 김재준 안병무 목사 등과 가깝게 지내며 한국교회의 앞날을 걱정했다. 그의 제자들 중 철학교수보다 목사가 된 사람이 더 많다는 사실도 그의 삶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고인은 주변 사람들에게언제나 따뜻하고 인자한 인품의 소유자로 기억된다. 잔인하다며 TV 권투중계도 못 볼 정도였다.
김형찬기자 khc@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