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임 외환은행장에는 금융감독원 정기홍(鄭基鴻) 부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처럼 갑작스러운 시중은행장 교체는 이근영(李瑾榮) 금융감독위원장이 표명한 이른바 ‘국책은행장 단임 원칙’에 따른 것이어서 정부의 ‘관치금융’에 대한 논란이 거세게 일 것으로 보인다.
외환·조흥은행 노조는 행장 사퇴 후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정부의 원칙 없는 관치인사 중단을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가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김경림 외환은행장은 11일 “외환은행이 조속히 우량은행으로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보다 참신하고 추진력 있는 은행장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김 행장은 아직 임기가 1년 남아 있다.
위성복 조흥은행장도 “행장 경선을 놓고 본인이 연임을 위해 노욕(老慾)을 부리고 있다는 오해가 나오고 있다”며 “39년 은행원 생활을 명예롭게 마감하고 싶어 행장추천위원회에 사임 의사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금감위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조흥은행은 1단계 구조조정을 마치고 선진금융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새로운 인물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외환은행장은 그동안 하이닉스반도체 처리 등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잡음이 많아 교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융계는 이근영 위원장이 밝힌 단임 원칙에 전혀 논리적 근거가 없고 최고경영자(CEO)는 경영실적에 따라 냉정하게 평가받아야 한다는 일반론마저 무시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부가 민간기구인 행장추천위원회를 앞에 내세우고 뒤에서 인사권을 휘두르는 구태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외환·조흥은행 노조는 성명을 발표하고 “정부가 은행 인사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대주주라는 명분을 들어 다시 정부 관료의 나눠먹기식 관치인사를 재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병기기자 eye@donga.com
김두영기자 nirvana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