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은 부상자를 비롯해 이라크 내 우리 국민의 안위가 걱정이지만, 이번 사건이 국내에 몰고 올 파장 또한 만만치 않을 것 같아 우려된다. 이라크 파병 철회를 주장하는 시민단체 등의 목소리가 한층 높아질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그렇지 않아도 논란 많은 파병 문제에 더 큰 혼란과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한마디로 테러 때문에 한번 결정된 국가정책이 주춤거리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반(反)문명적인 테러에 당당하게 대처하는 것은 국가의 위신에 관련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어제 정부가 이번 사건을 이라크 파병 결정과 연계시키지 않겠다고 밝힌 것은 옳은 자세다. 우리보다 앞서 테러 희생자를 낸 일본의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도 “테러 공격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밝히지 않았는가. 정부는 원칙을 중시하는 태도를 계속 견지하기 바란다. 파병 반대론자들도 이번 사건을 반대 명분으로 내세우는 일은 자제해야 할 것이다.
지난 주말에만 한국을 포함해 5개국의 15명이 테러에 희생됐을 정도로 이라크 현지 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파병의 성격과 규모 등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런 점을 감안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정부가 그런 모습을 보일 때 국민도 파병의 불가피성을 납득할 수 있지 않겠는가.
당장은 이라크에 체류하고 있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문제가 급하다. 외교부는 이라크 내에 비상연락망을 구축하고 대피 계획을 마련하는 등 더 이상의 인명 피해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