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두 사안을 둘러싼 양당 내부의 흐름은 판이합니다.
열린우리당 내에서는 유 의원을 장관으로 내정한 노무현 대통령을 겨냥해 심한 말을 하는 의원들이 적지 않습니다.
최고 권력자인 대통령이 지배하는 집권여당 내에서 대통령의 결정에 반대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자신의 목을 내놓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던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입니다.
반면 한나라당 내에서 원 최고위원을 응원하는 목소리는 극히 제한돼 있습니다.
정권을 잡지 못한 야당이 주류와 비주류로 나뉘어 현안이 생길 때마다 다른 목소리로 논쟁을 벌여왔던 과거 야당과는 상당히 바뀐 모습입니다.
왜 이렇게 여야의 분위기가 바뀌었을까요.
저는 여야의 태생적인 내부 풍토의 차이와 함께 2004년 총선 이후 실시된 각종 선거결과와 최근의 민심 흐름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열린우리당은 집권여당이면서도 '소수파' 의식에 여전히 사로잡혀있는 정당으로 보입니다. 노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에서부터 나타나는 이런 의식이 이번 유 의원 파동의 근원에 깔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 연이은 재보선 참패와 호남 민심 등 돌림 현상, 최저치를 헤매는 노 대통령 지지도 등이 어울려 이번 파동이 일어났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반면 한나라당은 장기 집권했던 과거를 못 잊어 아직도 '다수파'라는 잠재의식에 빠져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원 최고위원이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갈릴레오의 독백을 자신의 홈페이지에 옮긴 것도 이런 풍토를 겨냥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 재보선 완승에 여당을 압도하는 당 지지도는 다른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는 큰 요인으로 보입니다.
이번 두 파동을 보면서 여권에는 국민 다수의 정서를 포용하는 의사 결정 시스템 마련이, 한나라 당에는 당내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김동철 정치전문기자 eastphil@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