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댐에 고구려 고분이 수몰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전부터 학계에 알려져 있다. 중국 측이 이번에 댐 보수를 위해 수위를 낮추자 마침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고분이 2300여 기나 되는 것은 고분을 만든 세력이 오랜 기간 이 일대를 지배했으며 대단히 강력했던 집단이었음을 뜻한다. 과연 어떤 세력이었느냐가 관심의 초점이다. 중국 신화통신은 유적 발견 소식을 전하면서 중국 쪽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한(漢)나라 시대에 축조된 고분과 성(城)’이라고 주장했다.
▷우리 학자들은 어이없다는 표정들이다. 한나라의 성들은 흙으로 쌓은 토성이며 고구려의 성은 돌로 만든 석성으로 확연히 구별되는데 이번에 발견된 성은 돌로 된 것이어서 고구려 성이 확실하다는 것이다. 중국은 대규모 유적 발견에도 불구하고 성터를 발굴하지 않은 채 다시 댐에 물을 채우기 시작했다. 중국의 문화유적이라면서 왜 서둘러 수몰시키는지 그 의도가 궁금하다. 한국 측이 공동조사를 제의하기 전에 서둘러 묻어 두려 한다는 해석이 국내 학계에서 나오고 있다.
▷운봉 댐의 ‘공동 소유자’인 북한 측은 우리 학자들에게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해서는 북한이 강하게 나가겠다. 대신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해서는 남한이 잘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주체’를 내세우면서도 중국 앞에 한없이 약해지는 북한의 침묵은 그렇다 치더라도 우리 측은 당당히 공동 발굴을 요구해야 한다. 고구려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 계획이 역사교과서만 빼놓고 사실상 완료됐다는 우려가 우리 학자들 사이에서 나오는 판이다.
홍찬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