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마라톤. 많은 사람에게 생소한 운동일 것이다. 마라톤 풀코스인 42.195km 이상을 달리는 모든 달리기 경기를 일컫는 용어다. 대개는 국제육상경기연맹의 공식종목인 100km 달리기를 지칭하지만, 300km 이상의 극한 달리기도 있다.
이 책 저자의 이력을 보면 먼저 놀람을 지나 경악에 가까운 느낌이 든다. 잠 안 자고 75시간 동안 420km 완주, 한낮 기온이 섭씨 50도가 넘는 상태에서 216km 완주, 해발 2500m가 넘는 산 4개 이상을 달리는 160km 완주.
마라톤을 40회 이상 완주한 나도 감히 상상도 못 해 보았던 거리와 악조건이다. 아마 모든 독자가 먼저 찾고 싶은 답은 ‘도대체 왜 그렇게 극한 상황과 거리를 달리는가’일 것이다. “날 계속 나아가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쉬운 질문이다. 내가 인생을 살아가는 목표, 모험, 몸을 현실 밖으로 밀어내려는 도전 의식이 그 답이다.”
서른 살 생일. MBA 출신으로 잘나가던 저자 딘 카르나제스는 “돈을 벌고 물건을 사는 것으로 정말 중요한 것을 잃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고는 “자연과 내 능력을 탐험할 수 있는 곳을 찾고 싶어서” 무작정 뛰기 시작했다. 밤새 50km를 달리고 나서 그의 인생은 ‘울트라마라톤 인생’으로 바뀌었다. “내가 그토록 갈구하던 바로 그 자리에 선 느낌이었다. 난 행복했고 더없이 만족스러웠다.”
목표 없이 그저 먼 거리를 달리던 그는 미국 서부지역의 고산을 뛰는 ‘서부 주 100마일 극한 달리기 대회’에의 도전을 감행했다. 수직벽 같은 가파른 산을 오를 때의 다리 고통, 발바닥 물집이 터져 피가 날 때의 아픔, 고통으로 인한 현기증과 착시현상. 그는 그런 극한의 고통마저도 즐기는 방법을 터득했다. “통증은 몸이 약해지는 걸 막아 주는 방법이다. 고통을 억누르려고 애쓰기보다는 그걸 음미하고 축하해야 한다.”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해 본 사람들은 고통의 의미를 안다. 에베레스트에 오르기 위해 목숨을 건 도전을 해 본 사람, 엉덩이에 난 땀띠가 터져 피가 날 정도로 공부해 본 사람, 마라톤 완주를 위해 35km 사점(死點)을 넘어 본 사람들은 알고 있다. 극한의 고통을 겪지 않고는 성공으로 갈 수 없다는 것을. 고통이 더할수록 성공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그래서 고통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주성 러너스클럽 대표·마라톤칼럼니스트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