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상황을 초래한 1차적 책임이 북에 있음은 물론이다. 북은 작년 9월 베이징 6자회담에서 ‘모든 핵무기와 핵계획의 포기(9·19 공동성명)’를 약속하고서도 이를 전혀 이행하지 않았다. 북 외무성은 지난달 28일 “공동성명이 이행되면 우리가 얻을 게 더 많다”면서도 “6자회담이 파탄에 이른 건 미국의 금융제재 때문”이라는 주장을 늘어놓았다. 미국의 인내심이 한계에 이를 만하다.
우리의 처지가 정말 어려워졌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3년 5월 조지 W 부시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풀되 상황에 따라 ‘추가적 조치’를 검토키로 합의해 놓고서도 북을 감싸기에 바빴다. 그러는 사이에 북은 작년 2월 핵보유국임을 선언한 데 이어 올 7월 미사일까지 발사했다.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북의 위협을 현실로 인정하고 한미공조를 통해 해법을 찾는 수밖에 없다. 대북 제재 반대만 외치며 미국의 소매를 붙잡는다고 해결될 상황은 지났다. 그동안 정부가 북한의 핵 포기와 6자회담 복귀를 위해 효과적으로 해 온 일이 무엇인가. 노 대통령부터 북을 두둔하기만 했으니 제재를 말릴 명분도 신뢰도 잃어버렸다.
향후 대북 압박 과정에서라도 미국과 긴밀히 호흡을 맞춰 연착륙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14일 한미정상회담에서 강력한 ‘공조 회복’의 신호만 나와도 북이 무시하기 어려운 압력이 될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를 명심해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