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홍찬식]위인(偉人)

  • 입력 2006년 11월 20일 03시 04분


코멘트
프랑스 파리의 팡테옹에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위인 73명이 묻혀 있다. 주인공은 주로 문인 사상가 과학자들이다. 빅토르 위고, 장 자크 루소, 퀴리 부인 등이 이곳에 잠들어 있다. 대통령을 지낸 사람으로는 사디 카르노(1837∼94)가 유일하다. 여기에 안장된 또 다른 위인 루이 브라이(1809∼52)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점자를 만든 사람이다.

▷브라이가 맹아학교에 입학했을 때 시각장애인을 위한 책은 알파벳을 돋을새김으로 처리한 몇 권이 고작이었다. 점자 개발은 험난했으나 그는 3년 만에 해냈다. 겨우 14세 때였다. 그의 고향에 세워진 기념비에는 ‘앞을 볼 수 없는 모든 이에게 지식의 문을 열어 주었다’고 적혀 있다. 기성세대에겐 낯선 브라이 전기(傳記)가 국내 어린이 위인전 부문에서 베스트셀러 1위에 올라 있다.

▷미국의 캐틀은 19세기 말 세계인명사전을 만들면서 10명의 위인을 선정했다. 나폴레옹, 셰익스피어, 볼테르, 베이컨, 아리스토텔레스 등이었다. 1999년 미국 타임지는 20세기의 대표적 위인으로 아인슈타인을 뽑았다. 20세기가 ‘과학의 세기’였음을 감안한 결정이었다. 21세기로 넘어오면서 위인에 대한 생각이 크게 달라졌다. 과거 세대들이 위인 하면 흔히 떠올렸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난 것이다. 분야가 다양해지고 폭이 넓어졌다. 역사 속의 ‘큰 인물’뿐 아니라 동시대의 ‘스타’에 대한 흠모가 두드러진다.

▷어찌 보면 중구난방 식의 혼란스러운 느낌이 없지 않다. 가볍고 감각적인 대중문화와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인류와 역사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사라졌다는 개탄의 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한 시대의 위인상(像) 속에는 사회 전체가 갈구하는 ‘공통분모’가 분명히 있다. 오늘날 어지러운 세태는 무능한 리더십의 영향이 크다. 사람들은 자신만의 위인을 통해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자 하는 게 아닐까. 위인의 덕목은 역시 통찰력과 성실성이다. 카를 포퍼는 “우리가 기다리는 위대한 지도자는 결코 오지 않는다”며 비관론을 폈지만 우리는 아직 포기하기 어렵다.

홍찬식 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