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미학,건축이야기 20선]<6>건축의 스트레스

  • 입력 2007년 6월 4일 02시 59분


코멘트
‘20세기 건축의 아버지’라 불리는 스위스 출신 프랑스 건축가 르코르뷔지에는 건축을 ‘삶을 위한 기계’라 일컬었다. 그의 제자인 한국 근대 건축의 선구자 김중업은 ‘(건축이라는 공간은) 꿈을 꾸고 싶어져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 두 문장 사이에서 당대의 시인이자 건축평론가인 함성호 씨의 스트레스는 시작된다. 건축이 구체적 삶을 환유한다면 시(詩)는 현실에서 결락된 인간의 본질적이고도 심원한 열망과 꿈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함 씨에 따르면 20세기 이후 인간의 모든 기획은 삶과 꿈의 총체적 분리현상을 극복하지 못했다. 삶을 추구하면 꿈이 사라지고, 꿈을 꾸다 보면 현실에 거대한 흠집이 생긴다. 이것은 모든 건축가(및 예술가)가 오랫동안 고민해 온 사항인 동시에 어떤 건축가도 시원스레 풀지 못한 문제다. 함 씨는 꿈과 현실 사이의 이 지난한 어긋남을 시인과 건축가라는 두 가지 시각을 포개어 진술한다.

르코르뷔지에와 김중업이라는 하나의 원론에서 화두를 끄집어내지만 그가 더 공들여 문제를 세공하는 건 그의 선배나 동년배들의 작업을 통해서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건축평론가 함 씨의 현장비평 기록과 시인 함 씨의 미학 에세이가 뫼비우스 띠처럼 겹쳐 있다.

건축 이야기를 들으며 시를 떠올리거나 미술이나 시 얘기에서 건축 및 근대의 문화사를 통시적으로 파악하게 되는 건 저자에 대한 선입견이 아니라 행간에 감춰진 저자의 의도에 의해서이다. 그래서인지 간혹 지극히 현실적인 얘기가 꿈처럼 들리기도 하는데, 독자 나름의 평점이 갈릴 지점이기도 한 만큼 좀 더 미묘한 재미를 즐길 수 있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건축은 자연적 공간을 인간의 상상력으로 재해석해 삶의 공간으로 바꾸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런데 그것이 바로 건축의 한계이자 정점이라고 저자는 진단한다. 한 개인의 상상력이나 미적 감각이 필연적으로 투영될 수밖에 없는 건축은 그 어떤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꿈을 그대로 표현해 낼 수 없다. 이 지점에서 저자는 시인의 입장과 건축가의 입장을 동일시한다. 그러면서 그만의 역설이 잠정적으로 완성된다.

책의 중심에 할애된 현장비평은 저자가 이러한 관점에서 파악한 근대건축의 비애와 질곡을 다루고 있다. 그 비애와 질곡은 아직도 우리의 삶과 문화를 지배하는 근대라는 유령이 가설한 불완전한 건축물들이다. 책 표지에 무질서하게 쌓여 있는 녹슨 철근 더미는 그런 의미에서 적체된 우리 모두의 심리적 문화적 스트레스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부식된 채 무너지지 않는 근대의 아집과 구멍이 숭숭 뚫려 버린 꿈들. 때로 한꺼번에 와르르 무너지는 것도 꿈의 실현일 수 있지 않을까.

강정 시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