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엔 수천 명이 모이는 대규모 행사가 종종 있었다. 1970년대 유신(維新)시절에는 대통령 간접선거(일명 ‘체육관 선거’)를 위해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장충체육관에서 열리던 새마을지도자대회도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하는 중요 행사였다. 5공화국 때인 1981년 설치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약칭 ‘평통’)도 매년 정례 회의를 열고 있다. 그러다 보니 동원의 성격을 띠기 쉬웠다.
▷국정설명회의 뿌리는 1960년대 3공화국 시절까지 올라간다. 당시엔 국가 대사(大事)가 있거나 국민과의 일체감 형성이 필요할 때 주로 국무총리가 나서서 각계 인사들과의 소통을 위해 설명회를 가졌다. 1970년대 유신시대와 1980년대 5공화국 시절에도 총리가 도청 소재지를 돌며 수백 명의 지방 유지를 상대로 ‘안보정세 보고회’란 대회를 열었다. 총리가 모처럼 위세를 과시하는 기회였다. 그러나 6공화국 때 국정설명회로 바뀌고, 김영삼 정부부터는 전국 순회 방식도 없어졌다.
▷이명박 정부 출범 후에는 지방행정 기관장을 상대로 한 국정설명회가 시도지사, 시장·군수, 구청장에 이어 벌써 네 번째다. 지방정부의 협력을 구하고 국민과 소통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이 엿보이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디지털 정보통신 시대에 아날로그 발상 같은 느낌도 든다. 형식적이고 일방적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진정한 소통을 하려면 쌍방향의 진지한 대화가 필요하다. 이번 같은 동원형 설명회보다 대통령이 직접 TV에 나와 국민과 가슴을 열고 대화를 나눠보면 더 설득력이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육정수 논설위원 sooy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