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지역별 선정과 정원 배정도 지역균형 논리의 산물이다. 기존 사법시험 합격자 수와 법학교육 여건, 교수진 등 대학의 역량보다는 지역 안배에 치우쳤다. 지방대에 전체 정원 2000명의 43%인 860명을 나눠주는 바람에 서울 역차별이란 항변이 나왔다. 지방대 로스쿨에 그 지역 출신 대학 졸업자가 많이 입학하고, 이들이 현지에서 변호사 개업을 하면 지역 발전에 기여하리라는 논리였다.
▷그러나 첫 로스쿨 합격자 분석에서 우려했던 바가 나타났다. 수도권 로스쿨에 정원이 부족하니 성적이 우수한 수도권 대학 졸업자가 지방 로스쿨에 대거 합격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지방 로스쿨 합격자 전체(경북대 제외)의 60%가 수도권 대학 출신이고, 그것도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이른바 ‘SKY 대학’ 출신이 41%나 차지했다. 수도권 대학 출신은 변호사가 된 뒤 대부분 수도권으로 되돌아 올 가능성이 높다. 로스쿨에 적용한 균형논리는 허구의 정치적 논리로 판명이 날 판이다. 사시 합격자를 많이 냈거나 로스쿨 선정에서 탈락한 일부 대학은 벌써 정원 재조정과 로스쿨 추가 선정을 주장하고 있다.
▷5년 전 로스쿨 제도를 도입한 일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일본도 일종의 균형논리로 당초 방침보다 훨씬 많은 5800명을 74개 대학에 배분했다. 그 결과 변호사시험 평균 합격률이 33%, 어떤 학교는 3%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정원 미달이 된 46개 대학의 대부분이 정원을 스스로 줄이려 한다. 다양한 전문변호사를 기르려면 실력을 갖춘 로스쿨의 정원을 늘려줘야 한다는 논리에도 수긍할 점이 있다. 대학별 정원이 너무 적어 연간 2000만 원 이상의 등록금으로도 로스쿨 운영이 안 된다면 이것도 골칫거리다.
육정수 논설위원 sooy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