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수정에서 연합군의 승리로 이뤄진 광복을 ‘새로운 국가 건설의 장애’로 표현하거나, 북한 사회와 김일성 체제를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묘사한 부분 등은 좀 더 객관적으로 기술(記述)됐다. 남북 분단의 책임을 대한민국에 전가한 대목도 ‘통일정부 수립의 희망은 이뤄지지 않았다’로, 이승만 정부 때 친일파 청산이 안 돼 ‘민족정신에 토대를 둔 새로운 나라의 출발은 수포로 돌아갔다’고 한 대목도 ‘친일파 청산이라는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로 바뀌었다.
금성교과서의 경우 교과부의 수정 권고안이 다 받아들여지긴 했지만 교과서 전반에 흐르는 좌편향은 여전하다. 대한민국 탄생과 그 후 60년 도정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에 기초한 자랑스러운 역사임이 제대로 부각되지 않았다. 건국 과정에서 분단의 비극이 강조되는 것 이상으로 건국 주역들의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의지도 강조됐어야 한다. 북한 정권의 인권 탄압 같은 실상도 충분히 소개되지 않았다.
이런 교과서가 그동안 50% 이상의 고교에 보급돼 왔다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이 교과서를 채택한 고교가 올해 844곳에서 내년엔 566곳으로 줄긴 하지만 여전히 30%가 넘는 학교가 이 교과서로 가르치게 된다. 왜곡된 역사교과서로 인해 제 나라 역사에 자긍심을 갖지 못하는 국민이 어떻게 국가에 애정을 갖겠는가.
정부는 2011년 국사와 세계사를 합쳐 ‘역사’ 과목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근현대사 교과서는 새로운 교과서로 대체된다. 새 역사 교과서는 미래 세대에게 올바르고 긍정적인 역사관을 심어줄 수 있도록 기술돼야 한다. 정부와 역사학계는 큰 틀에서 역사 교과서 전면 수정작업에 착수해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