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스릴러를 쓰려면 전문가들도 탄복할 정도의 뛰어난 전문지식과 소설 구성능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스티븐 킹 같은 예외가 있긴 해도 그 분야 전문가가 전업(轉業)해 작가가 된 경우가 많다. ‘돌연변이’ ‘코마’ 등 의학 스릴러를 개척한 로빈 쿡과 ‘쥐라기공원’ ‘먹이’의 작가 마이클 크라이튼은 모두 하버드대 의대를 졸업한 의사 출신이다. ‘펠리컨 브리프’ ‘레인메이커’ ‘의뢰인’을 쓴 존 그리셤은 변호사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이 장르의 인기가 만만치 않다. 스티븐 킹, 댄 브라운 같은 작가들의 작품을 읽고 ‘CSI 과학수사대’나 ‘하우스’ 등 미국 드라마를 보면서 자란 세대가 등장했기 때문일까, 하지만 한국적 상황과 눈높이에 맞는 테크노스릴러는 좀처럼 만나보기 어렵다. 과학이나 미래를 소재로 하는 건 더욱 그렇다. 미국처럼 전문가가 작가로 전업하는 일이 없고, 작가들은 테크노스릴러를 쓸 만큼의 전문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작가들이 이 분야를 ‘통속적’이라며 기피하는 탓도 있다.
▷‘불멸의 이순신’의 작가 김탁환 KAIST 교수와 ‘정재승의 과학콘서트’의 저자 정재승 KAIST 교수가 본격적 테크노스릴러를 표방한 작품을 동아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김 교수는 존 그리셤과 마이클 크라이튼을 통해 소설 쓰는 법을 배웠다고 밝힐 정도로 이 분야의 마니아다. 정 교수는 뇌과학과 로봇 등 과학소재로 존재의 의미를 묻겠다고 한다. 작품 제목은 창조론을 논박한 리처드 도킨스 옥스퍼드대 교수의 책 제목 ‘눈먼 시계공’을 그대로 차용했다. 과학자와 작가가 함께 그려낼 상상력의 변주(變奏)로 아침 신문을 읽는 기쁨이 하나 더 늘어날 것 같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