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편지/진주현]요지경 같은 美의료보험

  • Array
  • 입력 2010년 2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작년 말에 머리가 아파서 학교 병원을 찾았다. 의사는 컴퓨터단층촬영(CT)을 하자면서 학생 보험이 있으면 보험 회사에서 진료비를 모두 부담한다고 했다. CT를 했고 아무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어느 날 병원비 청구서를 보는 순간 눈앞이 캄캄해졌다. CT 비용으로 5300달러, 우리 돈으로 자그마치 600만 원이 넘는 돈이었다.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는 데에는 한참이 걸렸다. 다행히도 보험 회사에 전화를 해 문제를 해결했고 예상대로 내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없었다.

몇 년 전에 안과에서 정밀 시력 검사를 받았는데 그때도 행정 착오로 병원비 청구서를 받았다. 이번보다 훨씬 저렴한(?) 780달러, 우리 돈으로 85만 원 정도였다. 최신 의료기술의 도입 등으로 의료비용이 높아진다면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미국은 진료비 외에도 보험 처리에 들어가는 행정 사무 관련 비용에다가 제약회사 보험회사 의료기회사, 그리고 의사의 이권까지 얽히는 바람에 비용이 점점 더 비싸져서 문제라고 한다.

미국에 처음 왔을 때 나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학생 보험을 갖고 있어 아프면 언제든 병원에 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웬걸. 치통이 생겨서 치과에 전화를 했더니 내가 가진 의료보험에 치과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했다. 일단 치과 보험을 사고 병원에 전화해서 예약하는 데 약 두 달 걸린다고 했다. 집 떠나 어디가 아픈 것만으로도 서글펐는데 두 달을 기다리라니 기가 찰 노릇이었다. 몸이 아프면 아픈 부위와 상관없이 전국 어느 병원에나 들어가기만 하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한국에서 갓 유학 온 나에게 미국의 의료보험제도는 그야말로 미스터리요, 골칫거리였다.

몇 년이 지나 겨우 학교 보험에 익숙해질 무렵 학교를 옮기게 됐다. 예전 학교에서는 대학원생이면 무조건 학교 보험에 가입할 수 있었는데 이 학교는 그렇지 않았다. 대학원생 중에서도 조교를 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이 가입할 수 있는 보험이 따로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학교 병원과 보험 회사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설령 학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더라도 내가 직접 보험 회사에 비용을 청구하지 않으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대학원생 조교를 하던 첫 두 해 동안은 그나마 혜택이 좋은 보험을 갖고 있어 불편함이 없이 지냈다. 이번 학기에는 조교를 하지 않아 보험이 바뀌면서 문제가 생겼다. 얼마 전에 서울에서 시력교정술을 받았는데 의사 선생님께서 미국에 돌아가면 한 달 후에 검진을 받아보라고 하셨다. 나는 보험이 있어 당연히 안과를 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전화를 했다. 그랬더니 내 보험은 눈에 질병이 생겼을 때에만 적용되므로 정기검진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미국인 친구의 일화가 떠올랐다. 밤에 많이 아파서 응급실에 다녀왔다고 한다. 직장의료보험의 보장 범위가 넓어서 응급실 진료를 모두 커버하기에 걱정 없이 다녀왔는데 문제는 몇 달 후에 날아든 의료비 청구서였다. 수백 달러의 비용도 비용이지만 보험 약관에 응급실 진료비는 100% 보장된다고 돼 있었기에 무슨 일인가 싶었다고 한다. 보험회사와 병원, 직장을 오가며 알아본 결과는 이랬다. 응급실에 있는 집기 즉 침대나 주사기는 보험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응급실에 있는 의사에 대해서는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을 따로 내야 한다는 것.

나는 사실 의료보험제도에 대해서 잘 모른다. 미국의 시스템도 우리나라의 시스템도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겠거니 하는 것이 내 생각이다. 하지만 이렇게 황당한 일을 겪을 때마다 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최우선 과제로 의료보험제도의 개혁을 추진하는지 알 수 있을 듯도 하다.

진주현 재미 과학칼럼니스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