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새내기 철학입문서’ 20선]<14>위대한 생각들

  • Array
  • 입력 2010년 4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그들의 생각이 세상을 바꿨다
◇위대한 생각들/황광우 지음·비아북

《“인류의 역사를 뒤바꾼 위대한 생각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나는 믿는다. 사상이 없으면 세계를 볼 수 없고, 사상이 없으면 세계를 만들 수 없다. 오늘의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데려가는 것이 청춘의 특권이자 사명이라면 젊은이는 세계를 만들어온 사상들을 외면하고 살 수 없다.”》

철학은 요즘 대학생들이 기피하는 학문이 됐지만 결국 사회를 변화시키는 사상적 토대를 마련해주는 것은 철학이다. 저자는 동서양 역사의 물꼬를 바꿔놓은 대표 사상인 자유주의,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 파시즘, 유가사상, 도가사상, 법가사상, 실학사상, 동학사상 등 10개 사상의 유래와 함께 사회에 끼친 영향을 정리했다. 저자는 ‘철학콘서트’(1부)를 10만 부 넘게 판매한 인문 분야 베스트셀러 작가로 황지우 시인의 동생이기도 하다.

카를 마르크스가 ‘공산당선언’에선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으로, ‘고타 강령 비판’에선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하는 사회”로 표현했던 사회주의는 앞선 사상가들의 이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공자가 보는 유토피아 세계 ‘대동(大同)’은 다른 사람의 자식을 돌보고 다른 사람의 부모도 공양한다. 홀로 사는 고아, 노인도 공동체가 보살핀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친구는 모든 것을 공유한다. 아무도 생필품 외에 사유재산을 소유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고 저자는 이를 ‘사회주의의 초석’이라고 평한다.

저자는 1917년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의 실패를 구조적인 모순에서 찾는다.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에 따르면 사회주의 사회는 명백히 자본주의 사회 이후의 것인데 혁명 당시 러시아는 봉건제도에서 막 벗어나던 시기였다. 봉건제도에서 해방되자마자 공산주의 사회로 달려가는 것은 역사의 발전 단계를 뛰어넘는 돈키호테의 망상이라는 것. 저자는 러시아 혁명을 사회주의자들이 집권한 혁명이지 사회주의 혁명은 아니었다고 평가한다.

사회주의가 실패한 이후 자유민주주의는 ‘인류 역사상 가장 안정적이고 강력한 정치사상’으로 여긴다.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 보장’ ‘주권재민’ ‘경제에 대한 자유방임주의’를 기초로 한 자유주의에 ‘보통선거제도 실시’ ‘복지국가 건설’을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가 결합됐다. 세계 많은 나라가 자유민주주의를 통치이념으로 채택했지만 그 정신이 제대로 실천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는 실학과 동학 등 한국의 사상에도 눈을 돌린다.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를 저술한 다산 정약용의 사상은 당대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했다. 다산은 ‘원목(原牧)’을 통해 권력은 민중으로부터 나온다고 주장했고, 토지의 집중을 해소하고 농민의 세금 부담을 줄이려는 ‘균전제’ ‘정전제’ ‘여전제’ 등 토지개혁을 추진했지만 실패했다. 다산의 주장을 받쳐 줄 ‘시민계급’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늘과 사람은 하나다’라는 평등사상을 기초로 한 동학은 1894년 갑오농민전쟁으로 폭발했지만 결국 관군과 일본군의 신식 무기 앞에 무너졌다. 하지만 이어진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의 근대화를 앞당기는 토대가 됐다.

저자는 비틀스의 ‘예스터데이’가 전 세계 젊은이들의 정신적 공유물이듯, 다산의 탐구 정신과 전봉준의 실천 정신도 언젠가 전 인류의 공유물이 될 것이라고 확언한다. 이 일은 당연히 우리 세대의 몫이라고 강조한다.

황인찬 기자 hi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