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참모인 김두우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이 물러났다. 그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의 로비스트 박태규 씨에게서 금품 로비를 받은 혐의로 검찰의 소환 통보를 받고 곧바로 사표를 냈다. 저축은행 비리에 대통령 측근이 연루된 건 처음이 아니다.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과 김해수 전 대통령정무1비서관이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수석비서관이 검찰 조사를 받게 된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다. 저축은행 비리가 권력형 게이트로 비화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 수석은 언론사 정치부장 때부터 박 씨와 알았고 함께 골프도 자주 쳤을 정도로 친한 사이라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부산저축은행 건과 관련해 어떤 로비를 한 적도, 금품을 받은 적도 결코 없다”고 결백을 주장했다. 대통령 측근이 청와대에 근무하면서 어떤 명목으로라도 금품을 받았다면 변명의 여지가 없다. 부산저축은행 관련성도 결국 검찰과 법원이 판단할 문제다.
검찰은 3월 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본격화한 이후 지금까지 6개월 동안 약 60명을 기소했지만 거물급 인사의 비리를 밝혀내지 못했다. 부산저축은행은 1997년 외환위기 이전에는 제2금융권에서도 존재감이 별로 없을 정도였지만 김대중 노무현 정부를 거치면서 급성장했다. 이 때문에 부산저축은행그룹 비리에 현재의 야당 정치인과 과거 정부의 고위 관료들이 관련됐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야당 인사들의 비호 의혹도 일부 불거졌다. 그럼에도 부산저축은행의 급성장 배경에 대한 검찰 수사는 아무런 진전이 없다. 검찰의 김 수석 소환 조사는 여야를 불문하고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 부산저축은행그룹의 모든 불법행위를 밝혀내는 새로운 시발점이 돼야 한다.
이 대통령의 사촌형과 그의 두 아들이 대통령의 이름을 팔아 이권사업 투자 명목으로 거액을 받아 챙긴 혐의로 고소된 사건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 가능성 때문에 관심을 끈다. ‘4대강 사업과 건설업에 투자하면 큰 이득을 볼 수 있다며 3억 원을 받았다’는 것이 고소 내용이다. 민정수석비서관실이 평소 대통령 친인척 관리를 소홀히 한 것은 아닌지, 대통령부터 친인척 관리에 추상같은 자세를 잃은 것은 아닌지 성찰해야 할 것이다.
역대 정권은 대부분 임기 말에 터진 대통령 측근 및 친인척의 비리로 권력 누수(漏水)를 자초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부터라도 등잔 밑을 철저히 살펴 대형 게이트를 예방할 책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