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를 살짝 데쳐 썰어 초고추장이나 기름소금에 찍어 먹는 숙회는 별미다. 문어로 국을 끓여도 맛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렇게 다양한 방법으로 문어를 요리하는데 특히 영호남에서는 제사상에 문어가 빠지면 안 될 정도로 중요한 음식으로 취급했다.
우리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문어를 먹고 이탈리아 스페인 등 지중해 연안의 남유럽 국가에서도 문어는 오징어, 낙지와 함께 즐겨 먹는 해산물 중 하나다. 반면 요리천국이라는 중국에는 오히려 문어 요리가 드물고 독일 등 북유럽에서는 문어를 괴물로 여겨 먹지 않는다.
이렇게 같은 음식이라도 나라와 민족에 따라 좋아하고 싫어하는 정도가 분명하게 다르다. 그러니 세상사와 마찬가지로 내가 먹지 않는 특정 음식을 먹는다고 남을 비난하는 것도 경우에 어긋나지만 내가 좋다고 다른 사람에게 강권하는 것 역시 예의는 아니다.
임진왜란 때 있었던 일이다. 이여송을 사령관으로 하는 명나라 구원병이 조선에 왔다. 풍전등화의 상황에서 도착한 원군이었으니 조정에서는 명나라 장군들을 극진하게 대접했다. 이때 내놓은 맛있는 음식이 문어숙회와 문엇국이었다.
그런데 환영잔치에 참석한 명나라 장수들이 하나같이 난처한 얼굴을 하며 감히 먹을 엄두를 내지 못했다. 이익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중국 남쪽 지방에는 문어가 있지만 이여송 일행은 주로 북쪽 사람들이어서 문어를 처음 보았기 때문에 먹지 못하고 주저하는 기색을 보인 것이라고 풀이했다.
며칠 후 명나라 장수 일행이 도착인사를 겸해 선조를 알현했는데 피로연 자리에서 계수나무에서 자라는 벌레의 한 종류인 계두(桂두)를 선물로 바쳤다. 한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한서(漢書) 남월전’에는 남월의 왕이 중국에 공물을 보내면서 보석인 비취는 40쌍, 공작새는 두 쌍을 보냈으면서도 계두는 겨우 한 그릇밖에 보내지 않았다고 했을 정도로 중국에서는 귀하다고 소문난 음식이다.
하지만 벌레 먹는 풍습이 없는 우리나라에서는 난감하기 짝이 없는 음식이었다. 성호사설에는 선조가 계두를 보며 오랫동안 주저하면서 차마 젓가락을 대지 못했다고 적어 놓았다. 상대방을 정성껏 극진하게 대접하려고 했던 것이 오히려 상대편을 난처하게 만들었던 경우가 조선의 문어와 명나라의 계두다.
참고로 문어(文魚)라는 한자 이름에는 글월 문(文)자가 들어간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문어라고 쓰고 중국에서는 장어(章魚)라고 표기한다. 문장이라고 할 때의 글 장(章)자다. 문어가 글을 읽는 것도 아닌데 이름 속에 ‘문장’을 의미하는 글자가 들어간 유래를 이규경이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설명해 놓았다. 동방, 그러니까 조선에서는 문어를 사람의 머리와 닮았다고 해서 문어라고 부른다고 어원을 풀이했다. 사람처럼 똑똑한 물고기라는 뜻에서 생긴 이름이고 배운 사람처럼 문어 역시 머리에 먹물깨나 들어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문어는 물고기 중에서 지적 능력이 뛰어난 연체동물이다. 본능에 따라 움직이는 여느 물고기와는 달리 학습능력이 있으며 기억력까지 갖추고 있다고 한다. 문어가 똑똑하니 남아공 월드컵 때 신통한 능력을 보인 문어인 파울의 활약 역시 우연의 일치가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지나친 억측일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