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에 마른 나뭇가지가 많이 떨어져 있는 게 눈에 띈다. 꽃샘바람이 유난히 기승을 부린 탓인지 올봄엔 나뭇가지가 더 많이 떨어져 거리에 나뒹군다. 대부분 작고 가는 것들로 길고 굵은 나뭇가지가 떨어져 있는 경우는 퍽 드물다. 예년엔 그렇지 않았는데 올봄엔 그런 나뭇가지를 유심히 살펴보게 된다.
우연히 TV 화면에서 까치부부가 집을 짓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장면을 보게 된 탓이다. 까치부부는 도심의 가로수 윗동에다 집을 짓기 위해 끊임없이 나뭇가지를 부리로 물어다 날랐다. 지난겨울에 사람들이 나무의 윗동을 마치 새총처럼 잘라버려 까치부부가 물어온 나뭇가지는 얼키설키 엮이지 못하고 계속 땅바닥에 떨어졌다. 받침대 역할을 하는 가지 하나 남아 있지 않아 집의 기초공사를 할 수 없는데도 거의 한 달 동안이나 거리에 떨어진 나뭇가지를 물어다 날랐다. 까치들은 집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어 사람들이 집을 없애버려도 원래 있었던 그곳에다 다시 지으려고 노력한다는 거였다. 그 노력이 얼마나 눈물겨운지 그것을 지켜보는 내 마음은 참으로 미안하고 아팠다.
그때 문득 봄이 오면 왜 꽃샘바람이 꼭 불어오는지, 나뭇가지가 왜 바람에 잔잔하게 부러져 거리에 나뒹구는지 그 까닭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까치와 같은 작은 새들로 하여금 집을 지을 때 그런 나뭇가지로 지으라고 그런 거였다. 만일 꽃샘바람이 불어오지 않고 나뭇가지 하나 부러지지 않는다면 새들이 무엇으로 집을 지을 수 있겠는가. 또 떨어진 나뭇가지가 마냥 크고 굵기만 하다면 새들이 그 연약한 부리로 어떻게 나뭇가지를 옮길 수 있겠는가. ‘인생의 집’도 새집처럼 기초가 튼튼해야
새들은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날 집을 짓는다.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튼튼한 집을 짓기 위해서다. 태풍이 불어와도 나뭇가지가 꺾였으면 꺾였지 새들의 집이 부서지지 않는 것은 바로 그런 까닭이다. 그런데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 집을 지으려면 새들이 얼마나 힘들겠는가. 바람이 고요히 그치기를 기다려 집을 지으면 집짓기가 훨씬 더 수월할 것이다. 나뭇가지를 물어오는 일도, 부리로 흙을 이기는 일도 훨씬 쉬울 것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좋지 않을 것이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 지은 집은 강한 바람에도 무너지지 않겠지만, 바람이 불지 않은 날 지은 집은 약한 바람에도 허물어져 버릴 것이다. 만약 그런 집에 새들이 알을 낳는다면 알이 땅으로 떨어질 수도 있고, 새끼가 태어난다면 새끼 또한 떨어져 다치거나 죽고 말 것이다.
새들이 나무에 집을 짓는 것을 보면 참으로 놀랍다. 누가 가르쳐준 것도 아닌데 어떻게 그렇게 집을 지을 수 있을까. 높은 나뭇가지 위에 지은 까치집을 보면, 그것도 층층이 ‘다세대 주택’을 지어놓은 것을 보면 아름답기 그지없다. 그래서 그 나무 또한 아름답다. 새들은 자신들의 보금자리를 나무에 지을 수 있어서 좋고, 나무는 새들의 집들 때문에 자신들이 아름다워져서 좋다. 이 얼마나 사랑과 배려가 있는 조화로운 이타적 삶인가.
인간들은 그런 까치집을 송두리째 파괴해 버린다. 언젠가 화가 이종상 선생께서 까치집이 있는 나무가 뿌리째 뽑혀 이삿짐 트럭에 실려 가는 풍경을 그린 ‘이사’라는 그림을 본 적이 있다. 나무는 뿌리 부분을 트럭 위쪽으로 걸쳐놓고 길게 누워 있었는데, 아래쪽 나뭇가지엔 까치집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트럭은 숨차게 달려가고 있었고, 그 뒤를 까치 두 마리가 힘겹게 따라가고 있었다. 나는 그 그림을 보는 순간, 트럭에 실려 가는 까치집을 따라가는 까치의 안타까운 마음이 그대로 전해졌다. 까치는 이사를 가고 싶어서 가는 게 아니라, 집을 지어놓은 나무가 인간에 의해 이사를 가기 때문에 가는 거였다.
새들이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날 집을 짓는 것은 인간이 집을 지을 때 땅을 깊게 파는 것과 같다. 건물의 높이에 따라 땅파기의 깊이는 달라진다. 땅 파기가 힘들다고 해서 얕게 파면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없다. 현재의 조건이 힘들다고 주저앉으면 미래의 조건이 좋아질 리 없다. 오늘의 악조건이 내일의 호조건 만들어
누구나 인생이라는 집을 짓는다. 이 시대도 민주와 자유의 집을 짓는다. 그러나 그 집을 언제 어떻게 지어야 하느냐 하는 게 늘 문제다. 그 집은 어느 한때 한순간에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인생의 집이 인생 전체를 필요로 하는 것처럼 시대의 집도 시대 전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인생의 집도 시대의 집도 새의 집처럼 기초가 튼튼해야 한다. 새들이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날 집을 짓듯이 우리도 고통이 가장 혹독할 때 집을 지어야 한다. 오늘의 악조건이 내일의 호조건을 만든다.
오늘도 거리에 유난히 작고 가는 나뭇가지가 부러져 나뒹군다. 새들로 하여금 그 나뭇가지로 하늘 높이 집을 짓게 하기 위해서다. 나 또한 마찬가지다. 내가 만일 부러지지 않고 계속 살아남기만을 원한다면 누가 나를 인간의 집을 짓는 데 쓸 수 있겠는가. 올봄엔 나도 한 그루 나무처럼 나뭇가지가 잔잔히 많이 부러질 일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