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희의 ‘광고 TALK’]<16>소리가 머무는 기계

  • Array
  • 입력 2012년 5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김병희 교수 제공
김병희 교수 제공
버스에서든 지하철에서든 거리에서든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듣는 사람이 많다. 이제 MP3플레이어를 넘어 스마트폰으로 음원을 내려받아 음악을 듣는다. ‘위대한 탄생’ ‘K팝스타’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마다 가수 지망생으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유성기가 보급되면서 대중가요의 개화기(開化期)에 접어들었는데, 이제 노래방 열풍을 거쳐 누구나 가수가 되어 노래의 꽃을 피울 수 있는 개화기(開花期)가 되었다.

해동상회 유성기 광고(매일신보 1911년 10월 31일)는 ‘유성기의 소리’라는 헤드라인 아래 유성기(축음기)의 특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우리가 조직한 이 회사난 우리의 희망과 여(如)히(같이) 평온하야 로연(露然·자연스러움)한 평화의 기상은 오인(吾人·우리들) 생활을 가장 질겁게(즐겁게) 하난도다. (중략) 선청(先廳·먼저 듣기)한 그대난 쾌활가(快闊家), 화평가(和平家), 불평가(不平家), 의협가(義俠家)랄(를) 물론하고 일체 소개하여 쥬시기랄(주시기를) 발아압나이다(바라옵니다).”

이미 유성기 소리를 들어본 ‘얼리어답터’들이 그 즐거움을 혼자만 누리지 말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소개해보라는 내용이다. 닙보노홍(NIPPONOPHONE) 브랜드의 유성기 스피커 쪽에 음표를 그려 넣어 생생한 음질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재미있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했다. 보디카피에서 청곡(淸曲·맑고 부드러운 노래)과 절음(絶音)의 음질을 살려낸다고 함으로써 제품의 특성을 강조했다.

유성기는 1899년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다고 알려져 있다. 소리가 머무는 기계(留聲機)는 재미있게도 ‘말하는 기계’(만세보 광고 1907년 4월 19일)로 소개되기도 했다. 유성기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는 기계에 잠시 머무르다 복제되어 나오는 최초의 소리였던 셈이다. 지금 우리는 MP3나 아이팟으로 노래를 듣는다. 음원 재생기의 이름이 어떻게 달라졌든, 변하지 않은 사실은 기계가 소리를 머물게 하거나 소리를 압축(축음기)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대중의 취향은 노래 듣기에서 가수 되기로 달라졌다. 유성기가 보급되지 않았더라면 감히 꿈도 꿀 수 없었을 터.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유성기#해동상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