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숙이 말하는 몸과 우주]<36>인테리어와 담음(痰飮)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5월 31일 03시 00분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 인테리어부터 걷어내라

암과 우울증.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두 가지 질병(혹은 키워드)이다. 이 둘의 공통점은 뭉치고 막힌다는 것. 전자는 몸 안의 세포가 돌연 불멸을 선언하면서 이웃 세포들과의 소통을 끊어버리는 것이고, 후자는 심리 혹은 정서가 외부와의 관계를 단절하는 것이다. 동의보감에선 이런 증상들의 원인을 총칭하여 ‘담음(痰飮)’이라고 한다. 담음은 진액이 뭉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나누면 이렇다. “열(熱)이 울체되면 담(痰)이 생기고, 담이 울체되면 벽(癖)이 생기며, 혈이 울체되면 징(징)이 생기고, 식(食)이 울체되면 비만이 되는 건 필연적인 이치다.” 이런 식으로 거의 모든 병이 담음에서 비롯한다. 오죽하면 십병구담(十病九痰·10개의 병 중에 9개는 담음 때문이다)이라는 사자성어까지 나왔겠는가.

주지하듯이 병은 일상의 표현이다. 암과 우울증이 이렇게 많다는 건 그만큼 일상이 뭉치고 막힌다는 뜻인데, 과연 그렇다. 주거 공간은 특히 그러하다. 지난 수십 년간 사람들의 꿈은 ‘내 집 마련’이었다. 시작은 소박했으나 결국엔 ‘탐욕의 축’이 되고 말았다. 하여 이제 ‘내 집’은 오순도순 사는 곳이 아니라 자산의 증식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사는(living) 곳이 아니라 사는(buying) 것으로! 그 결과 전국 곳곳이 아파트 천국이 됐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봐도 아파트는 천국보다는 지옥에 가깝다.

먼저 사방이 꽉 막힌 형태라 이웃과의 소통이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친지들이 편하게 드나들기도 쉽지 않다. 결국 거주자는 3인 아니면 4인 가족이 전부다. 게다가 이 가족들조차 집에 머무르는 시간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럼 그 넓은 공간은 대체 무엇으로 채워지는가? 다름 아닌 인테리어다. 인테리어야말로 아파트의 ‘진정한’ 주인이다.

20세기 초 독일의 한 작가는 아파트를 보고 두 가지 장면을 투시했다. 아침이면 모두가 같은 모양의 변기에 앉아 배설을 하는 장면, 그리고 밤이면 모두가 같은 침실, 같은 침대 위에서 비슷한 스타일로 섹스를 하는 장면. 어디 변기와 침대만 그렇겠는가. 소파와 장롱, 싱크대와 식탁, 대형 TV와 오디오 등 비슷비슷한 가구들이 집 안 곳곳을 꽉 채우고 있다. 이쯤 되면 ‘가구 토테미즘’이라고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가구는 가구를 부른다. 그래서 사람들은 물건을 사고 또 산다. 쓰이지도 않은 채 어딘가를 꽉 채우고 있는 물건, 그것이 곧 담음이자 종양이다. 집 안 공기의 순환을 막고, 정서의 흐름을 막고, 대화의 창구를 막고. 이러고 몸이 아프지 않다면 그게 더 이상한 노릇이다.

만약 내가 먹은 음식이 고스란히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지 않은가. 따라서 밝고 명랑하게 살고 싶다면 일단 인테리어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야 한다. 단적으로 거실에 소파만 없어도 숨쉬기가 훨씬 편안해질 것이다.

가구와 물건을 줄이면 두 가지 길이 열린다. 집이 한결 넓어진다. 그러면 이웃들과 친지들을 초대하고 싶어질 것이다. 사람과의 소통이 비로소 시작되는 것이다. 또 하나, 집이 더는 클 필요가 없다고 느끼게 된다. 그러면 더 많은 돈을 벌어야 할 이유도, 집을 위해 엄청난 빚을 져야 할 이유도 사라진다. 이보다 더 ‘남는’ 장사가 또 있는가?

고미숙 고전평론가

[채널A 영상] ‘한 지붕 여러 가족’ 세대구분 아파트 멀티홈 무엇일까


#고미숙이 말하는 몸과 우주#인테리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