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했던 고래 포경 재개 보도를 접하면서 착잡한 심경을 금할 수 없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주축이 돼 만든 국제포경위원회 한국대표단이 이달 4일 파나마에서 열린 국제포경위원회(IWC) 연례회의에 참석해 ‘과학조사 목적의 포경을 재개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수십 년간 준비한 내용이 이제야 결실을 보는구나 생각하니 감개가 무량했다. 그런데 일주일도 되지 않아 국내외 반대 여론에 떠밀려 슬그머니 포경을 포기할 수 있다는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 참으로 근시안적이고 즉흥적인 정책결정이 아닌가 싶다.
고래의 연구와 이용은 국제법상으로 보나 국내법으로 보나 자국의 결정사항이다. 다만 고래라는 동물이 18∼20세기에 걸쳐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면서 인류가 보호하고 지켜야 할 자산으로 인식됐다. 이런 상황에서 강대국들은 자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고래보호 정책을 환경단체들과 보조를 맞춰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이 얼마나 모순적인지 확인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환경과 반포경운동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그린피스는 호주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호주는 매년 캥거루를 사냥하고 그 부산물인 가죽으로 지갑, 벨트, 신발 등을 만들어 판매한다. 고기는 식재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그린피스는 이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이런 호주와 그린피스가 반포경운동에 앞장설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다. 이들은 또 우리 정부가 주장하는 포경을 마치 모든 고래를 대상으로 하는 것처럼 호도한다. 사실 우리가 포경을 허용하고자 하는 대상은 밍크고래, 돌고래로 매우 제한적이다. 우리 바다에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는 이들 종은 어족 자원에 악영향을 끼쳐 어민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해양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인 고래는 지난 27년간 포획이 금지됐다. 지구상 어떤 해양 동물도 이렇게 오랫동안 인간의 보호를 받지 못했다. 그 덕분에 이미 일부 종은 IWC 과학위원회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언급됐듯이 일정 수준 이용해도 자원 고갈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럼에도 논쟁이 계속되는 것은 고래자원의 이용 가치 상실이 그 원인일 것이다. 원래 서구 열강들은 고래를 식용 목적이 아닌 고래 기름을 얻기 위해 포획했다. 하지만 석유의 발견으로 이용 가치가 현격하게 떨어졌고 관심에서도 멀어졌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일본은 좀 다른 측면이 있다. 고래를 식용으로 이용하는 몇 안 되는 국가이기 때문에 고래자원의 이용을 지금까지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책담당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포경이 비단 고래 고기의 이용이라는 단편적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생태계를 좀 더 건강하게 가꾸기 위해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국민들로부터 공감을 얻어야 한다. 세계적으로도 이런 사례는 흔하다. 일례로 호주는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 캥거루가 주변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고 생태계를 교란한다고 판단해 매년 수십만 마리를 포획해 부산물은 절차를 거쳐 유통시킨다. 캐나다는 하프물개를 매년 20만 마리 이상 포획하는데, 역시 자국의 대구와 청어를 보호하고 고갈되는 어종을 복원하기 위해서다.
우리 정부도 미래를 내다보고 고래자원의 이용을 위한 준비를 차근차근 해 나가야 한다.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고래자원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들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그 첫 단추다. 그 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환경단체나 포경을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해 포경 재개를 현실화해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