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知的) 장애 여중생의 집단 성폭행에 가담한 사실을 숨기고 허위 교사추천서를 제출해 올해 성균관대 입시에 합격한 학생에 대해 대학 측이 합격 취소 결정을 내렸다. 대전시교육청은 허위 추천서를 제출한 고교 교장, 담임교사, 부장교사에게 정직(停職) 등 중징계 처분을 내리도록 학교 재단에 요구했다. 대학 입학서류를 허위로 기재한 것은 입시 부정이나 마찬가지다.
이 학생은 고교 2학년 때인 2010년 고교생 10여 명과 함께 여중생을 성폭행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그가 2012학년도 성균관대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지원하자 담임교사는 범죄 사실을 알면서도 ‘봉사왕’으로 묘사한 추천서를 써줬다. 학교와 학생이 가짜 입학서류 작성을 사실상 공모한 것이다. 담임교사는 이 학생이 성폭력 전력 때문에 학칙상 학급 임원이 될 수 없는데도 반장에 임명했고 하루 2∼6시간만 사회봉사를 했으나 종일 봉사한 것으로 조작했다. 학생과 교사가 작성한 자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기본을 무너뜨린 행위다.
일선 학교에서 허위 교사추천서 작성이 더 많이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부 교사는 학생의 장래를 망칠 수 없다는 이유로, 혹은 자기 학교의 대학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 허위 추천서를 써준다. 교사가 수험생에게 추천서를 써오게 해서 서명만 하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대학이 대필된 자기소개서와 허위 추천서를 형식적으로 심사해 높은 점수를 준다면 일선 고교의 부정을 조장하는 일이다.
21세기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단순지식형(型) 인간이 아니라 창의성이 뛰어나고 사회적인 책임감을 느끼는 사람이다. 입학사정관제는 이런 인재를 뽑기 위해 도입됐다. 허위 추천서를 써준 해당 고교에 대해 향후 입시에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대학들도 학생의 자질과 인성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