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쌍용자동차를 인수한 인도 마힌드라 그룹이 쌍용차에 대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청문회 및 국정조사와 관련해 “인수 전에 일어난 구조조정이 불법이고 해고자 전원이 복귀해야 한다는 주장이 (청문회에서) 나오는 것은 인수 계약의 근간을 흔들고 적법성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경고하는 서한을 국회에 보냈다. 파완 고엔카 쌍용차 이사회 의장은 신계륜 국회 환노위 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국회 등) 외부 상황으로 인해 회사가 감당하기 힘든 비용을 부담하게 되면 흑자 전환 과정은 쉽게 무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에 투자한 외국 기업이 우리 국회에 “회사 정상화에 매진하도록 도와 달라”고 요구하는 현실은 정상이 아니다. 쌍용차는 2009년 노조의 77일간 파업, 직원 7400여 명 가운데 2646명의 희망퇴직 및 정리해고 등 모진 시련을 겪었다.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차 회생’을 포기하고 철수한 직후 법정관리인이 경영난 타개를 위해 구조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다. 1년 뒤 복귀하기로 하고 무급휴직에 들어간 468명 중 455명은 아직 회사로 돌아오지 못했다.
여소야대로 구성된 19대 국회 환노위의 야당 의원들은 개원 전부터 쌍용차 특별소위를 열겠다고 별렀다. 20일에는 쌍용차 정리해고 청문회를 열고 이유일 쌍용차 사장을 증인석에 불러 세웠다. 노사 간 자율 해결의 틀을 깨고 개별 기업의 노사 문제를 국회로 끌어들인 지난해 18대 국회 한진중공업 청문회의 재판(再版)이었다.
쌍용차 휴직 직원이 일터로 돌아오려면 마힌드라가 투자를 늘리고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 상품을 내놓아 흑자 전환을 이뤄내야 한다. 하지만 쌍용차는 마힌드라가 인수한 첫해인 2011년 1500억 원 적자를 냈고, 올해도 1300억 원 적자가 예상된다. 경영이 호전되지 않으면 남아 있는 직원들의 일자리도 위협받는다. 고엔카 의장은 “회사가 건실한 위치에 오르기 위해서는 향후 3∼4년 내에 제품, 설비 및 마케팅 분야에 8000억 원 내지 1조 원을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사가 힘을 모아 쌍용차의 회생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게 정치권이 할 일이다. 무리한 압박이 계속되면 외국인 투자자가 미래를 위한 투자를 중단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칫 한국을 떠나버릴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