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소니의 추락과 삼성의 약진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1월 24일 03시 00분


전자제품의 왕국 일본의 자존심이 바닥에 떨어졌다. 세계 TV 시장 1, 2위는 삼성과 LG가 차지하고 있다. 세계 휴대전화 시장에서도 일본 기업의 이름은 잘 보이지 않는다. 소니 파나소닉 샤프 등 일본 주요 가전회사의 영업이익을 다 합쳐도 한국의 삼성전자 하나보다 적다. 쌓아 둔 현금이 넘쳐 나 ‘은행’이라는 말까지 들었던 일본 전자회사들이 생존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소니의 신용등급을 ‘BB―’, 파나소닉을 ‘BB’로 발표해 각각 3단계, 2단계 떨어뜨렸다. 세계 시장에서 돈을 쓸어 담던 일본 전자회사들의 신용등급이 정크(투자부적격) 수준으로 전락한 것이다. 소니 파나소닉 샤프는 올해 직원 1만여 명을 구조조정하며 재기에 나섰으나 신용등급 추락에 따른 자금 조달 능력 악화와 경쟁력 하락으로 앞날을 내다보기 어렵다.

과거의 성공에 도취된 일본 전자회사의 몰락은 예견된 것이었다. 삼성과 LG보다 제품 경쟁력이 떨어져 기초 체력이 약한 상황에서 유럽의 재정위기, 엔화 가치의 상승,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3재(三災)’가 겹쳐 모래성처럼 무너졌다. 일본 기업은 기업가 정신이 충만했던 창업 1세대가 물러난 뒤 특유의 창조적 에너지가 사라졌다. 과감한 혁신보다 점진적 개선에 주력하며 디지털 기술의 신속한 변화를 따라잡지 못했다. 전문경영인이 이끄는 조직은 보수화, 관료화해 세계 경제의 흐름을 쫓아가기보다는 내수에 집중했다. 결국 투자 의사결정과 구조조정의 적기를 계속 놓쳤다.

시장에 영원한 승자는 없다. 기업지배 구조에도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 경영의 교과서로 불리던 일본 기업의 몰락이 주는 교훈이다. 한국 기업은 외환위기 이후 과감한 구조조정으로 체질을 개선하고, 기업 오너와 효율성 높은 전략 조직이 결합된 리더십을 구축해 일본 기업을 따라잡았다. 장기적 비전, 과감한 투자, 신속한 의사결정과 실행력이 강점이다. 이제는 중국 인도와 같은 신흥시장 기업은 물론이고 일본과 서구 기업들이 한국식 경영 스타일을 배우고 있다.

한국 대기업은 ‘빠른 추격자’에서 ‘시장 창조자’로 도약해야 할 중요한 시점을 맞고 있다. 최근 국내에 불고 있는 경제 민주화와 ‘대기업 때리기’ 바람이 대기업의 발을 묶지 않을까 걱정이다. 대기업의 불공정 거래나 총수의 불법 행위를 바로잡아 시장 질서를 세우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정치권이 반(反)기업 정서에 편승해 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잡는 일은 없어야 한다.
#소니#삼성#대기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