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하태원]성공한 퇴임 대통령

  • Array
  • 입력 2013년 1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에게는 ‘임기 중 낙마(1974년 8월)한 유일한 대통령’이라는 오명(汚名)이 뒤따른다. 워터게이트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하원이 탄핵을 결의한 데 이어 상원이 탄핵을 승인하려 하자 닉슨은 자진 사퇴를 선택했다. 후임자 제럴드 포드의 사면 결정으로 겨우 교소도행(行)은 면했다. 그러나 임기 중 최대 업적이었던 미중 정상회담(1972년) 당시 대화 상대였던 마오쩌둥과 방미(訪美)한 덩샤오핑의 도움으로 부활한다. 1970년대 후반 닉슨은 중동을 포함한 제3세계, 구소련을 위시한 공산권을 누비며 국익 수호의 전령을 자임했다. 9일 닉슨 탄생 100년을 맞아 미국 전역에서 재조명 열기가 뜨겁다.

▷권좌에서 물러난 뒤 각광을 받는 대표적인 경우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다. 카터는 대통령 재선에는 실패했으나 대통령 퇴임 이후 만든 카터 센터를 구심점으로 폭넓게 활동했다. 1994년 북한의 김일성과 면담해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 낸 뒤 여러 국제 분쟁에서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했다. 지금도 전 세계의 대통령, 총리를 지낸 인사들의 모임인 ‘디 엘더스(The Elders)’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다. 46세에 미국 대통령이 된 빌 클린턴도 퇴임 후 클린턴재단을 설립하고 지구촌 분쟁의 중재자로 나서고 있다. 이 재단 설명에 따르면 전 세계 180개국 4억 명의 삶을 나아지게 만들었다고 하니 ‘세계 최강’ 미국의 대통령도 하지 못한 일을 해내고 있는 셈이다.

▷극단적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를 무너뜨리는 공적을 세운 넬슨 만델라는 존재 자체만으로 세계 평화에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1999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직을 물러나면서 발족한 ‘만델라 메모리센터’에는 수많은 비정부기구(NGO)들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는 목표 아래 모여들고 있다. 유엔은 만델라의 생일인 7월 18일을 ‘만델라 데이(day)’로 정해 적어도 67분간 누구나 봉사 활동에 참여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67이란 숫자는 만델라가 민주화운동에 투신한 뒤 대통령을 거쳐 은퇴하기까지 걸린 67년을 의미한다. 만델라 정신은 그의 사후에도 인류가 기릴 무형의 유산이 될 것이다.

▷2월 25일 물러나는 이명박(MB) 대통령이 내년 초 가칭 ‘MB 재단’을 만든다는 소식이 들린다. 임기 중에 역점을 두었던 녹색성장 등의 성과를 발전시키고 퇴임 후 전직 대통령으로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으려는 노력이다. 건국 대통령 이승만부터 노무현까지 우리 대통령들은 퇴임 후 씁쓸한 말로를 걸었다. MB 재단이 ‘퇴임 대통령=불행한 대통령’이라는 공식을 깨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한국 대통령이라고 퇴임 후 활동에서 더 큰 박수를 받지 못한다는 법도 없지 않은가.

하태원 논설위원 triplets@donga.com
#퇴임 대통령#닉슨#지미 카터#넬슨 만델라#이명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