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김순덕]“노키아 몰락은 핀란드의 축복”

  • Array
  • 입력 2013년 2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핀란드에선 아무나 붙잡고 물어도 노키아에 대해 한마디 들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삼성에 대해 누구나 한마디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인구 540만 명의 작은 나라를 ‘휴대전화의 왕국’이라는 자부심으로 가득 채웠던 노키아는 날개도 없이 추락하고 있다. 1998년 세계 1위의 휴대전화 회사로 등극한 이래 핀란드 경제의 3분의 1을 떠맡았던 ‘국민기업’이었다. 그러나 2007년 애플의 아이폰이 등장한 이후 노키아 주가는 전성기 때의 20분의 1로 줄었다. 1위의 저주, 변화를 외면한 오만, 합의에 의존하다 놓친 스피드 경영 등 노키아 몰락의 이유는 많다. 그러나 “그것이 이 나라에서 가장 잘된 일”이라는 말이 요즘 유행이라고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가 전했다.

▷노키아에서 떨어져 나온 사람들이 창업한 신생 기업이 300개가 넘었다. 노키아 같은 대기업에 취업을 원했던 대학생들은 이제 창업을 ‘쿨’하게 여긴다. 2003년 헬싱키기술대학 학생 셋이 창업해 2009년 앵그리버드 게임으로 히트 친 로비오는 창업을 꿈꾸는 젊은이들의 역할 모델이 됐다. 노키아의 추락을 보며 핀란드 정부는 2008년 대학을 뿌리부터 뒤흔드는 개혁을 도입했다. 헬싱키기술대학, 헬싱키경제대학, 헬싱키 아트와 디자인대학을 합친 알토대학이 2010년 탄생했다. 대학 로고(A!)부터 참신한 이 대학 학생들은 ‘창업의 여름’ 행사와 ‘창업의 사우나’ 조직 등을 만들어 창업 열기를 확산시켰다. 정부는 기술혁신투자청(TEKES), 벤처캐피털펀드 핀베라를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일부터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까지 구석구석 지원했다.

▷혁신의 주역인 핀란드 정부가 키우는 창업 문화가 ‘뉴 노르딕 모델’이다. 북유럽 모델을 선망하는 일부 수구좌파는 여전히 ‘큰 정부’를 강조하지만 북유럽에서는 정부가 요람부터 무덤까지 책임지기보다, 개개인이 자율성을 키워 성공할 수 있도록 시장 원리를 통해 지원한다. 1990년대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복지 문제에서 ‘더 내고 더 받기’ 모델이 작동될 수 없음은 경험한 바다. 이번 글로벌 위기 때 유로존 국가에 비해 북유럽 지역의 타격이 적었던 것도 이런 ‘미리 개혁’ 덕분이었다.

▷끊임없이 혁신하지 않으면 1등도 추락할 수 있음을 노키아는 보여준다. 정부도, 복지 모델도 마찬가지다. 그 덕분에 핀란드는 반부패지수 1등, 글로벌 경쟁력 3위, 국민소득 4만5500달러의 선진국이다. 국가 부채가 유로존 평균의 절반일 만큼 재정이 탄탄하고 제도에 대한 신뢰는 북유럽 국가 중에서도 제일 높다. 이런 나라라면 노키아도 얼마든지 부활할 수 있을 것 같다. 믿을 만한 정부가 먼저냐, 국민이 믿어주는 게 먼저냐. 이게 문제일 듯하다.

김순덕 논설위원 yuri@donga.com
#노키아#핀란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