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김기현]대통령 DNA와 안철수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3월 21일 03시 00분


김기현 채널A 정치부 차장
김기현 채널A 정치부 차장
지난해 대선 직전 한 일간지가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인생의 10대 순간’을 소개했다. 당시 과거사 문제로 곤욕을 치르던 박근혜의 인생 역정은 한국 현대사의 주요 장면과 고스란히 겹쳤다. 어머니를 잃은 1974년 8·15 행사, 퍼스트레이디 생활, 10·26, 천막당사, 피습, 대선 경선 패배 승복…. 반면 명문 중학교 입학, 사법시험 합격, 결혼, 히말라야 여행, 딸의 결혼식 등 문재인의 ‘10대 순간’에는 친근하지만 사적(私的)인 사건이 더 많았다.

굴곡 많은 거대한 현대사를 껴안은 듯한 박근혜의 극적인 삶 때문에 많은 지지자는 그가 대통령이 되는 게 마치 운명인 것처럼 믿었다. ‘고귀한 신분의 주인공이 갑자기 밀어닥친 온갖 역경을 딛고 본래의 자리로 돌아오는’ 완벽한 영웅 신화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의 당선으로 완성된 것이다.

1987년 대선에서 노태우는 ‘보통 사람’을 내세웠지만 역대 대통령 중 정말 평범한 사람은 없었다. 고려 시대 노비 만적은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느냐”고 부르짖었고 신분제는 오래전에 사라졌지만 21세기의 우리 국민은 ‘그래도 대통령감은 따로 있다’고 믿는 듯하다.

이 대통령감이라는 기준은 설명하기도 쉽지 않다. 이회창은 화려한 이력과 카리스마에도 두 차례나 국민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지식인층에서 지지가 높았던 손학규 김근태는 제대로 도전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 이처럼 대통령감의 기준은 모호하지만 역대 대통령의 삶을 들여다보면 몇 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목숨을 건 결단과 승부다. 정치적 생명뿐 아니라 말 그대로 목숨을 건 경우도 있었다. 박정희는 1961년 5월 16일 새벽 총탄이 쏟아지는 한강 다리를 건넜다. 군 후배 전두환도 ‘성공한 쿠데타’로 규정된 12·12와 5·17을 딛고 권력을 손에 쥐었다. 거사를 함께한 그의 친구 노태우는 6·29선언이라는 승부수를 던져 직선제 대선에서 승리했다.

23일 동안 목숨을 건 단식투쟁을 벌이며 군사정권에 대항했던 김영삼(YS)은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굴에 들어가야 한다”며 군정세력과 손을 잡고 결국 청와대의 주인이 됐다.

이들은 끊임없이 저항하고 도전하며 자기 길을 걸어갔다. 김대중(DJ)은 납치를 당하고, 군사재판에서 사형선고까지 받으면서도 민주화투쟁을 주도했다. 인권변호사로서 권력과 자본에 맞서 싸우던 노무현은 정치 입문 후에도 지역주의와 싸운다며 ‘질 것이 뻔한 선거’에 끈질기게 도전했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때로는 눈을 질근 감고 온갖 비난과 정치적 비루함을 참아내기도 했다. 군 출신들은 총칼로 권력을 잡았다. DJ는 비판을 무릅쓰고 정계은퇴를 번복했고, ‘유신 본당’을 자처한 김종필(JP)과 손을 잡았다. YS는 각서까지 쓴 내각제 약속도 휴지조각처럼 버렸다.

이러다 보니 대통령이 되기까지 살아온 세월 속에는 하나같이 감동적인 드라마와 풍성한 스토리가 넘친다. 이명박만 해도 가난한 어린 시절, 학생운동, 월급쟁이 신화 등 TV 드라마의 모델이 될 정도로 얘깃거리가 많았다.

이쯤 되면 ‘대통령 운명론’까지는 아니어도 적어도 ‘대통령 DNA(유전자)’ 정도는 따로 있는 것 아닐까. 물론 DNA도 운명처럼 바꾸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안철수가 지난 대선에서 중도하차하는 바람에 국민들은 그의 깜냥을 제대로 가늠할 수 없었다. 그는 화려한 성공스토리는 있지만 ‘대통령감’으로 자신을 각인시킬 만한 정치적 결단을 보여준 적은 없다. ‘영혼이 있는 승부’라는 책을 냈지만 정치적 승부에선 밀렸다. 영화 ‘링컨’을 보고 감명 받았다지만 정치의 흙탕물에 성큼 발 담글 각오가 있는지도 더 지켜봐야 한다. 그는 이제 자신의 대통령 DNA를 스스로 증명해보여야 한다.

김기현 채널A 정치부 차장 kimkihy@donga.com
#대통령#박근혜#문재인#안철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13-03-21 09:32:18

    두리뭉실, 슬그머니, 물렁게같은 존재로 보여집니다. 왜냐하면 되는 것도 없고, 않되는 도 없는 식의 인간 안철수이기때문이죠"그래서 나는 이런사람이 대한민국통수권자가 되면 북한이 처들어와도 나몰라라하지않을까 큰 걱정을 하고있습니다. 절대로 않됩니다요' 대통령,구케의원!

  • 2013-03-21 09:06:23

    대통령깜 같은 소리는 하지마라. 이명박은 깜이라서 대통령 했나? 박근혜는? 아직 국회의원 시작도 안한 사람이니 일단 지켜보는 게 맞다. 어떻게 하는지 지켜보고 기성정치인보다 못하면 하차하는 게 맞고 나으면 기대해볼만하다.

  • 2013-03-21 08:56:05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지도와나침판과북극성이라에서 지도도 볼 줄몰라 잘못읽으니 꿈도 오판으로 갈등에 끼도 불량한 나침반이라도 좋아하다가 깽판에 상처만 일도 중도하차로 최선을 즐기지 못하니 불행한 비판만 받을뿐이라?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