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보부 김재규, 김수환 추기경과 박정희 대통령 면담 주선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허문명 기자가 쓰는 ‘김지하와 그의 시대’]<62>독대

1974년 7월 10일 저녁 김수환 추기경과 독대하는 박정희 대통령. 동아일보DB
1974년 7월 10일 저녁 김수환 추기경과 독대하는 박정희 대통령. 동아일보DB
권위주의 시대 중앙정보부(중정·현 국가정보원)는 권력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국민은 한동안 중정 대신 중정이 있던 ‘남산’이라는 호칭을 썼다.

5·16 직후인 1961년 6월 20일 중정이 창설되자 사무실은 서울 태평로, 남산 3호 터널 입구, 남산 북쪽 숭의학원 인근, 무교동 서린호텔 자리 등으로 흩어져 있었다. 본청은 동대문구 이문동에 있었다. 남산 중턱(서울 중구 예장동 4-5번지 일대)에도 별관이 있었는데 여기에는 대공 및 국내 정치를 다루는 핵심부서가 모두 입주해 있었다. 부장을 비롯한 간부들도 주로 여기서 일했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4개 동에 불과하지만, 1995년 서울 서초구 내곡동으로 국정원 청사가 이전하기 직전까지 남산에 흩어져 있던 중정 건물은 무려 40여 개 동이나 됐다.

현재 남산 북쪽에 자리 잡은 서울 유스호스텔, 서울시 남산별관, 서울종합방재센터, 문학의 집, 산림문학관, TBS교통방송청사 등은 지금은 서울시청 소속이지만 1995년까지만 해도 중정 건물들이었다.

2004년 이명박 서울시장이 리모델링을 시작해 2006년 개관한 서울 유스호스텔은 1∼6층까지 행정사무실로 썼고 6층에 중앙정보부장실이 있었다. 건물 오른편 TBS교통방송청사와 서울시 재난본부는 고문 수사와 행정 기능을 병행하던 곳이었다. 재난본부는 유치장으로도 쓰였다.

유스호스텔과 나란히 자리한 서울종합방재센터는 1층짜리 낮은 건물로 지하 3층까지 이어져 있는데 이게 바로 제6별관, 제6국이라는 이름으로 중정의 지하벙커로 쓰였던 곳이다. 이곳 지하 2층으로 내려가면 복도 양쪽으로 화장실이 딸린 4∼5평 크기의 취조실이 10여 개 늘어서 있고 중앙에 대형 취조실이 있었다고 한다.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는 특수 창문도 곳곳에 설치돼 있었다. 중정 6국은 ‘특명수사국’으로 유신 이후 학원 언론 종교 등 12개과로 세분해 기구와 인원을 늘린 중정의 핵심 부서였다.

김지하는 6국에서 보낸 순간순간이 한마디로 ‘죽음’과의 싸움이었다고 말한다. 첫아들이 태어났다는 것도 그곳에서 전해 들었다. 잠을 재우지 않는, 사방이 흰빛이었던 그 방에서 그는 끝없이 기침을 하다 침묵하고 거부하고 침묵하고 거부하다 닷새가 지난 날, 나병식이 조영래에게 돈 받은 것을 고백했다는 것과 조영래가 아직 체포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하여 엿새째 되는 날 새벽, 자신이 지학순 주교로부터 120만 원을 받아 유신 철폐를 목적으로 한 시위자금으로 조영래에게 주었고, 조영래는 그 돈을 민청학련 지도부에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진술하기 시작했다.

‘지학순’이라는 이름이 김지하의 입에서 튀어나오자 정보부가 발칵 뒤집혔다. 단순히 운동권 차원이 아니라 가톨릭이 개입했다는 것이 드러나면 사건은 일파만파로 커지기 때문이었다. 가톨릭 주교를 구속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전무후무한 일이었다. 게다가 주교가 어떤 자리인가, 가톨릭에서 교구의 대표이며 바티칸 교황청이 직접 임명하는 자리가 아닌가. 실제로 민청학련 사건은 지 주교가 구속되면서 학생운동 차원에서 전 국민적인 저항운동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전기가 된다.

김지하의 회고다.

“6국장이 취조관을 통해 지 주교가 내게 준 자금 액수를 깎자고 세 번이나 제의해 왔다. 지 주교의 개입은 파장이 큰 것이라는 것을 온몸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심지어 ‘지 주교에게 민청학련 사건을 덮어씌우려 하다니 너무하지 않으냐’는 따위의 말까지 했다. 나는 그들에게 코웃음을 쳤다. 그리고 ‘내게 돈 깎자고 흥정한 것까지 변호사를 통해 공개하겠다’고 맞섰다.”

지 주교는 1974년 7월 6일 오후 4시 50분 김포공항에서 정보부로 연행된다. 대만에서 열린 아시아주교회의 연합회 창립총회 참석차 떠났다가 귀국하는 길이었다. 지 주교를 공항에서 기다리던 원주교구 신부들은 지 주교가 나타나지 않자 김수환 추기경과 주한 교황청 대사에게 “지 주교가 납치됐다”고 알렸다.

이날부터 한국 가톨릭은 미증유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지 주교 석방과 탄원에 앞장섰던 추기경은 당시 상황을 2004년 초 평화신문에 연재한 회고록을 통해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추기경은 이미 지 주교가 연행되기 며칠 전 원주교구청으로부터 “지 주교님이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됐다고 하는데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주교님은 지금 해외 출장 중”이라는 전화를 받는다. 불길한 예감이 든 추기경은 지 주교가 귀국하는 날인 7월 6일 주교회의 사무총장 신부에게 “공항에 나가 보라”고 한다. 아니나 다를까, 한참 만에 돌아온 사무총장 신부는 “지 주교가 비행기에서 내리는 것까지는 봤는데 그 후로 오리무중이라고 한다”는 원주교구 신부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사방에 지 주교를 수소문했으나 소재는 파악되지 않았다.

그로부터 3일 뒤인 7월 9일 김재규 중앙정보부 차장이 직접 추기경을 찾아왔다. 그러면서 “우리가 지 주교님을 모시고 있다”고 했다. 예감한 대로였다. 추기경은 바로 중정으로 달려가 지 주교를 면회했다. 다음은 추기경이 회고록에서 직접 털어놓은 육성이다.

“지 주교를 만나 얘기를 들어보니 유신정권이 주장하는 혐의는 납득할 수 없었다. 지 주교는 원주교구에서 농민과 탄광촌 주민을 위해 활동하는 김지하 시인을 통해 순수한 뜻을 가진 젊은이들을 도운 것뿐이었다. 나는 용공분자라는 올가미를 씌우려는 그들(정보부)의 음모를 파악한 이상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주교회의를 소집했다. 전국 신부들 수백 명이 서울로 올라와 구국기도회를 열었다.”

사태가 긴박하게 돌아가자 추기경이 지 주교를 면회한 다음 날인 7월 10일 오전 김재규 차장이 추기경을 다시 찾아왔다. 그러더니 “각하와 면담을 해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뜻밖의 제안을 한다. 추기경은 주교회의에 의견을 물었다. 참석 멤버인 12명의 의견은 정확히 반반으로 갈렸지만 추기경은 주교회의 의장 자격으로 면담을 결정한다. 김재규 차장에게 “만나겠다”고 했더니 김 차장은 이런 말을 하는 게 아닌가.

“추기경님, 환자는 딱딱한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죽처럼 부드러운 음식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제발 부탁입니다. 각하와 충돌하지 마십시오. 그렇게 되면 사태는 걷잡을 수 없게 됩니다.”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채널A 영상]“내가 만난 박정희” 청와대 출입기자의 추억
[채널A 영상]박정희 vs 박근혜 리더십 비교분석


#김재규#김수환 추기경#대통령 면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