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전인식]연안방재사업 더이상 미룰 수 없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8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전인식 한국연안방재학회장 건국대 교수
전인식 한국연안방재학회장 건국대 교수
2003년 9월 발생한 태풍 매미는 마산만을 비롯한 남해안에 큰 해일을 발생시켜 130명의 인명피해와 4조2000억 원의 재산피해를 남겼다. 당시에는 태풍 매미를 1959년 사라와 유사한 일종의 일회성 기상이변으로 보는 시각이 대세였다. 그러나 이후 10년을 보내면서 그와 유사한 극단적 기상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우리는 해수면 및 수온 상승에 관련된 여러 형태의 연안재해 중에 단시간 내 재산과 생명을 앗아가는 해일 피해를 주시해야 한다.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대형 태풍 및 허리케인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기상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통상 태풍은 폭우를 동반하기 때문에 폭우와 해일이 결합될 경우 막대한 해안지역 침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네덜란드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네덜란드는 국토의 3분의 1이 해수면 아래에 있으며 1953년에 대형 해일을 경험한 이래 국토 여러 곳에 해일방벽을 설치했다. 많은 방벽은 해일의 내습 시에만 작동되며 평상시에는 개방되기 때문에 해역이용이나 수질오염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 우리도 원거리에서 해일 내습을 원천 차단하는 해일방벽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연안방재시설을 건설하는 데 가장 큰 부담은 수조 원이 드는 공사비용이다. 그러나 한 번 연안재해를 당하면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5∼10% 손실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과연 어떤 게 경제적인지 따져봐야 한다.

미국에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내습하기 이전에 뉴올리언스에 해일 및 침수피해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수없이 있었지만 결국 2005년 도시 전체가 잠겼다. 충분히 재해가 예견되었으면서도 미루다가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당한 미국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더 늦기 전에 새로운 연안방재시설을 구축하고 시스템을 정비하는 데 역량을 총 집중해야 한다.

전인식 한국연안방재학회장 건국대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