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외부 세력은 밀양을 떠나라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0월 4일 03시 00분


2일 재개된 밀양 송전탑 공사를 가로막고 나선 사람 60여 명 가운데 밀양 주민은 20명 정도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민노총, 통합진보당, 정의당, 환경운동연합, 천주교 수녀 등이다. 이들은 반대 주민들과 함께 쇠사슬로 몸을 묶고 몸싸움을 벌이며 공사를 저지했다.

이들은 “송전탑 공사는 밀양을 죽음의 땅으로 몰아넣을 것”이라며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그렇다면 전국에 이미 건설된 900여 개의 동급 송전탑 주변은 모두 죽음의 땅이란 말인가. 엄용수 밀양시장은 “또 다른 갈등의 씨앗을 원하는 외부 세력이 개입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10년 전 전북 부안에서 방사성폐기물처리장 건설을 둘러싸고 빚어진 극심한 갈등도 외부 세력의 개입으로 증폭됐다.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외인부대들은 제발 떠나주기 바란다.

공사 재개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들이 5월 주민과 한전 간의 중재를 자청하며 공사를 보류시킨 지 4개월여 만이다. 신고리∼북경남 고압송전선은 2008년부터 공사를 시작해 밀양을 제외한 양산 울주 기장 창녕의 주변 4개 시군에선 진작 공사를 끝냈고 161개 송전탑 중 밀양에 세울 52개만 남았다. 3조2500억 원을 들인 140만 kW급 신고리 원전 3호기는 내년 3월에 상업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밀양은 지금 공사를 시작해도 내년 5월에나 완공할 수 있다 하니 많이 늦어졌다.

올 들어 조환익 한전 사장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거듭해서 현장을 찾았다. 지난달엔 정홍원 국무총리가 현장을 방문해 수백억 원대의 보상안을 내놓았다. 가구당 400만 원의 ‘직접보상’안에 30개 마을 중 18곳이 합의 단계라고 한다. 그럼에도 일부 주민은 여전히 현실성이 없다고 판명된 우회송전이나 지중화(地中化)를 요구하고 있다.

발전소에서 공장과 가정으로 나가는 송전선로는 반드시 필요한 국가기반시설이다. 밀양 주민도 다른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송전 받아 쓰고 있다. 어렵게 공사를 재개한 만큼 차질 없이 마무리해야 하며 불법 방해 행위는 없어야 한다.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과정에서 반대세력이 입은 피해는 업무방해에 대한 정당한 공무집행이므로 국가가 배상할 책임이 없다고 한 최근 서울중앙지법의 판결도 주목할 만하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