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아내, 누구의 엄마가 아닌 내 이름 석 자로 살고 싶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월 23일 03시 00분


[여성 1호를 만나다]<2>권선주 IBK기업은행장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에서 만난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은 “이제 여자 후배들에게도 은행장의 꿈을 심어줄 수 있게 돼 보람이 크다”고 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에서 만난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은 “이제 여자 후배들에게도 은행장의 꿈을 심어줄 수 있게 돼 보람이 크다”고 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새해 업무가 시작된 이달 2일.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이 서울 종로4가 한복판에 섰다. 몇 년 만인가. 누구에게나 어수룩했던 시절이 있다. 때론 그리움으로 다가오지만 때론 기억하기도 싫은 아득함…. 권 행장에게는 1978년이 그랬다. 그가 한 곳을 바라봤다. 풋풋했던 그 시절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기업은행 동대문지점. 설레는 마음을 억누를 수 없었다. 권 행장이 은행 문을 당겼다.

1978년 동대문지점으로 첫 발령을 받은 권선주. 객장 안에 들어서자 수십 개의 눈이 그에게 쏠렸다. 권선주는 지점의 첫 대졸 여성 행원이었다. 직원들의 시선에는 호기심이 잔뜩 들어 있었다. 권선주는 창구 맨 앞줄에 배치됐다.

은행은 광장시장을 마주하고 있었다. ○○직물, △△주단…. 다닥다닥 붙은 점포 위로 줄지어 매달린 백열등이 눈부시게 빛났다. 그 아래에서 형형색색의 옷감이 반짝였다. 시장이 활황을 누리던 시기였다. 권선주는 그런 시장을 무대로 은행 업무를 시작했다.

시장 상인들이 검은 봉지에 돈을 둘둘 싸 들고 찾아왔다. 일일이 돈을 세어 통장에 직접 숫자를 적어 넣던 시절이었다. 권선주는 열심히 주판알을 튕겨 가며 이자를 계산해 통장에 적었다. 주판이 손에 익지 않았다. 글씨까지 예쁘게 써지지 않아 속상했다.

하루를 마감할 무렵이었다. 이제 긴장을 풀려는 찰나 창구가 갑자기 소란스러워졌다. 통장 개수가 안 맞는단다. 권선주는 안절부절못했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자 털어놓을 수밖에 없었다. 고개를 푹 숙이곤 선배들에게 다가가 통장 3개를 쑥 내밀었다. 버리려던 통장들.

“저기… 제가 글씨를 잘못 써서 버리려고….”

따가운 눈총이 쏟아졌다. 꾸지람이 이어졌다. 그렇게 권선주는 출근 첫날부터 사고를 쳤다. 통장 하나라도 함부로 버려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배웠다.

곧 일에 익숙해졌다. 포목점 아저씨, ‘미싱집’ 아주머니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그녀를 찾아왔다. “좋은 옷감이 들어왔네.” “막내아들이 또 속을 썩이네.” 그들은 그날 장사로 번 돈을 꼬박꼬박 예금했다. 그들이 들려주는 인생사는 또 다른 공부가 됐다.

그러던 어느 날 ‘왜 나는 창구에만 앉아 있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함께 입사한 남자 동기들은 외환 업무도 보고 여신 업무도 보고 본사에서 기획을 맡기도 했다. ‘똑같이 시험 보고 들어왔는데….’

그는 은행에 들어올 때 꿈이 있었다. ‘권선주’라는 이름 석 자로 인정받고 싶다는 꿈. 그런데 창구에서 예·적금만 받아서는 그 꿈이 요원할 것만 같았다. 지점장을 찾아갔다.

“저도 외환 업무를 하고 싶어요.”

지점장의 눈이 동그래졌다. 당돌한 여직원의 제안에 잠시 할 말을 잃은 듯했다. 그러더니 툭 한마디 던졌다.

“(외환은) 여자들이 하는 일이 아니네.”

권선주는 여성 대졸 공채 1기로 입사했지만, 조직은 여전히 그를 ‘여행원’으로 봤다. 그때까지 은행은 고졸 출신만을 여행원이란 이름으로 뽑았다가 결혼과 동시에 퇴직시키곤 했다.

‘능력으로 보여 주자.’ 휴일도 없이 일에 매달렸다. 여전히 창구 업무를 맡았지만 마음가짐이 예전과 달랐다. ‘고객 관리’라는 말조차 생소하던 시절 고객의 이름부터 직업, 예금액, 소득, 가족관계까지 의식적으로 외웠다. 나중에는 문을 열고 들어서는 고객의 얼굴만 봐도 그 사람의 통장 잔액이 머릿속에 그려졌다. 고객들의 하소연도 허투루 듣지 않았다. 조그만 가게에서 어떻게 매출을 올리고 수완을 발휘하는지 그들의 말 한마디에 사업 성공 노하우가 녹아 있었다. 고객에게 귀 기울이니 세상이 보였다.

17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김중수 한은총재(오른쪽)와 악수하는 권선주 행장. 동아일보DB
17일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협의회에서 김중수 한은총재(오른쪽)와 악수하는 권선주 행장. 동아일보DB
기업은행 첫 여성 행장이 된 그가 2일 시무식을 마치고 처음 찾은 곳이 바로 이 동대문지점이었다. 첫 출근을 했을 때의 초심으로 은행을 이끌어 가겠다는 마음의 표현이었다. 권 행장은 은행원으로 지낸 36년 중 25년을 영업점에서 보냈다. 다들 본사 근무를 선호할 때 영업점을 고집했다. 현장의 중요성을 첫 발령지인 동대문지점에서 배운 것이다. 친정 같은 그곳에서 권 행장은 그 옛날의 고객도 다시 만났다.

“당시 고객들 이름을 지금도 다 기억하고 있어요. 대부분 개인 고객이었고, 그중 자동차 부품 관련 공장을 했던 고객을 찾아 차 한잔을 나눴어요. 아직 기업은행과 거래를 하시더라고요.”

권 행장은 기업은행에서 여성 최초 1급, 여성 최초 지역본부장, 여성 최초 부행장 등 ‘여성 최초’의 역사를 써 나갔다. 그 가운데 가장 소중한 타이틀은 ‘첫 여성 외환 책임자’였다. 1985년 서울 광화문 지점에 있을 때였다.

“말로 표현이 안 되는 뿌듯함이 밀려왔어요. 당시 업무를 맡기던 지점장님의 따듯한 눈길도 생생히 기억하지요.”

외환업무는 1970, 80년대 은행원들에겐 한마디로 ‘꿈’ 이었다. 해외 여행도 자유롭지 않던 때 외국환을 다루는 것 자체가 특별했다. 수출 역군이라는 자부심도 느끼던 시절이었다. 무엇보다 외국 은행과의 거래에서는 위험 부담이 컸기 때문에 역량 있는 직원들에게만 이 업무를 맡겼다. 외환 책임자가 됐다는 건 조직이 인정한다는 뜻이었다.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그는 금융연수원의 통신 연수로 전문 지식을 늘렸다. 이미 결혼도 하고 아이도 있었지만 집안일을 하면서도 책을 놓지 않았다. 그 덕분에 6개월 과정의 외환 실무 과정도 좋은 성적으로 마쳤다. 지점장은 “미리 준비하는 직원은 처음 본다”고 그를 격려하기도 했다.

“하루 30분, 1시간 자투리 시간이 모이니 적지 않은 시간이 된 거죠.”

위기도 있었다. 1991년 서울 광진구 광장동 워커힐지점에서 차장으로 근무하던 때였다. 결혼한 직장 여성들이 으레 맞닥뜨리는 ‘일’과 ‘가정’ 양자택일의 순간이 그에게도 닥쳤다.

“남편이 해외 발령을 받았어요. 시댁에서는 당연히 아내가 따라가 남편을 내조해 주길 바랐죠. 두 아이가 외국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고요.”

‘은행을 그만둬야 하나.’ 처음으로 고민에 빠졌다. 하지만 그는 남편만 홀로 중국으로 떠나보내고 아이 둘과 함께 남았다. ‘권선주’라는 이름을 지키고 싶었다.

“누구의 엄마, 누구의 아내가 아닌, 권선주라는 이름으로 독립된 경제활동을 하려면 일을 포기할 수 없었어요.”

1998년 방이역지점장으로 부임했을 때 주위에선 ‘여자가 지점장이니 마케팅에 약할 것’이라고 했다. 권 행장은 개의치 않았다.

“건물마다 안내도가 있잖아요. 각 층에 무슨 회사가 있는지 알 수 있죠. 상가와 건물을 모두 다니며 회사 이름을 조사해 우리 고객인지 아닌지 찾아보고 고객이 아닌 회사는 직접 찾아가 맞춤식 마케팅을 했어요.”

당시 그는 오전 8시에 출근해 직원회의를 마치고는 9시부터 점심때까지 인근 회사를 돌았다. 복귀해 오후 업무를 처리하고는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또 고객을 찾아 나섰다. 그 덕분에 외환 거래가 적었던 방이역지점에 연간 거래액이 1억 달러(약 1063억 원)나 되는 고객이 찾아올 정도가 됐다.

2001년 역삼1동지점장으로 부임했을 때도 뚝심을 발휘했다. 역삼1동지점은 대로변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위치해 실적이 형편없었다. 본사에서 폐점 얘기가 오갔다. 권 행장은 부임한 즉시 소형 점포 인상을 주는 지점 명칭부터 ‘역삼중앙지점’으로 바꿨다. 그러곤 방이역지점 때처럼 발로 뛰었다.

“신나게 다녔어요. 역삼동뿐만 아니라 양재동, 포이동까지 직접 다녔으니까요.”

부임 1년 만에 지점 폐쇄 얘기가 쏙 들어갔다. 역삼중앙지점에는 권 행장 때문에 거래한다는 고객이 아직도 많다.

첫 여성 은행장이라는 파격적 인선에 큰 잡음이 없었던 건 권 행장이 이렇게 현장에서 쌓아 온 전문성 덕분이다. 국책은행장 자리는 으레 관료 출신의 남성이 낙하산을 타고 내려와 차지하곤 했다. 내부 승진의 의미도 크다. 권 행장은 여성과 내부 승진이라는 두 장의 유리천장을 깬 셈이다.

기자가 권 행장을 만난 건 이달 7일이었다. 공고해 보였던 이중창을 깬 권 행장은 의외로 투사형 리더가 아니었다. 권 행장은 “항상 내가 부족한 점을 생각하고 채우려고 노력한다”고 했다. 후배들에게는 “힘든 시간을 견뎌 내는 사람이 돼 줄 것”을 당부했다.

인터뷰 내내 권 행장은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두 손을 가지런히 모은 채 기자의 질문에 귀 기울였다. 취임 소감을 묻는 질문에도 나긋한 목소리로 “마음을 열고 귀를 열고 많은 분들에게서 조언을 듣고 있다”고 했다.

강혜승 기자 fineday@donga.com
#권선주#IBK기업은행#여성#외환 업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