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장’은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고통을 말한다. 6·25전쟁이 몰고 온 이별과 이산의 고통은 60년이 지난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이틀 전에 끝난 남북이산가족 상봉이 그 결정판이다. 이산가족들은 ‘애끊는’ 슬픔 속에 재회를 기약하지만 이루어질 가능성은 글쎄….
‘애’는 ‘창자’를 뜻하는 순우리말. 그래서 ‘애끊다’는 ‘단장’과 의미가 꼭 같다. 이순신 장군의 ‘한산섬 달 밝은 밤에’로 시작하는 한시도 마무리가 ‘어디서 일성호가는 남의 애를 끊나니’였다.
비슷하지만 속뜻 차이가 큰 것으로 ‘애끓다’가 있다. ‘애가 끓는다’는 것은 ‘몹시 답답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부글부글 끓는 상태’를 말한다. ‘애간장을 태우다’와 뜻이 통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때면 등장하는 ‘애끓는 모정(母情)’이란 표현은 적확하다. ‘애끊다’가 고통을 수반한다면 ‘애끓다’는 초조와 불안에 가깝다고나 할까.
사람의 ‘애’는 ‘창자’인데 생선에서는 ‘간’을 뜻하기도 한다. 톡 쏘는 독특한 맛과 암모니아 썩는 듯한 냄새로 유명한 홍어애탕이 대표적이다. 어린 돼지, 또는 태(胎) 중의 새끼돼지를 뜻하는 애저(-저)의 ‘애’는 장기(臟器)와는 관계가 없다.
우리 몸에는 오장육부가 있는데 이를 ‘오장육보’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도 있다. ‘흥부전’에서 문학적 표현으로 ‘심술보’와 말꼴을 맞추기 위해 일부러 오장육보로 쓴 것을 사실로 받아들인 때문인 듯하다. 오장육부 중 하나인 폐장(허파)을 다른 말로 ‘부아’라고 한다. 이 역시 ‘화가 나다’ ‘화가 치밀다’ 따위의 ‘화(火)’를 떠올려 ‘부화’로 잘못 쓰기도 한다. ‘부아가 나다’ ‘부아가 치밀다’ ‘부아가 끓다’로 써야 맞다.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참사로 생때같은 자식을 잃은 부모의 울부짖음은 ‘애끓는’ 게 아니라 ‘애끊는’ 것이다. 과거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사고공화국’에서 살다 보면 시도 때도 없이 애를 끓이다가 결국은 애가 끊어질지도 모르겠다. 은근히 부아가 치민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