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정성희]성형 공장의 속도전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3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전신성형이 의무화된 나라가 있다. 아이들은 생긴 대로 살아가다가 열여섯 살 생일이 되면 건너편 ‘예쁜이’ 세상으로 건너가 전신성형을 받는다. 눈동자를 갈라 홍채에 반짝이를 주입하고 플라스틱을 넣어 골격을 아름답게 만든다. 치아는 썩지 않고 강한 세라믹으로 대체되며 얼굴 형태를 깎아내는 건 기본이다. 물론 실존하는 나라는 아니다. 미국 SF작가 스콧 웨스터펠드의 소설 ‘어글리’의 배경인 가상의 국가다.

▷소설은 예뻐지고 싶은 소녀들의 갈망과 그 대가를 다룬 성장스토리이지만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섬뜩한 경고도 담고 있다. 이 소설을 읽으며 필자는 만일 현실에 존재하는 성형국가가 있으면 우리나라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ISAPS)에 따르면 성형수술 건수 세계 1위는 미국이다. 그런데 단위 인구당 성형수술 건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1000명당 16명이 수술을 받는 한국이다.

▷서울 강남 거리를 걷다보면 한국이 왜 성형공화국으로 불리는지 실감하게 된다. 한 집 건너 하나씩 성형외과 간판이고 건물 전체를 성형외과가 통째로 쓰는 곳도 많다. 통계에 따르면 강남의 성형외과는 366곳이지만 페이닥터(월급 의사)까지 합치면 1000명이 넘는 의사들이 강남에서 활약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 전체 성형시장 매출의 25%를 한국이 차지한다는 분석도 있다.

▷“난 성형공장 기술자였다”는 강남 페이닥터의 고백이 화제다. 성형외과 의사들이 쌍꺼풀 수술은 30분, 눈 앞·뒤트임은 1시간 하는 식으로 타이머를 켜놓고 수술한다는 것이다. 의사별 수술시간은 원장에게 보고된다. 컨베이어벨트가 돌아가며 제품을 조립하는 공장 같은 성형공장에서 시간은 곧 돈이다. 가장 기막힌 것은 환자를 마취시켜 놓고 원장이나 유명의사 대신 다른 의사가 들어가 수술하는 사기극이다. 공장을 빨리 돌리다 보면 불량품이 생기듯 돈벌이만 추구하다 보니 성형수술을 받다 사망하는 환자가 잇따르고 있다. 안전을 도외시한 속도전이 죽음을 부르는 것이다. 의료윤리를 상실한 성형공장에 대한 수술이 필요하다.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