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쟁론]큰빗이끼벌레 둘러싼 4대강 수질 오염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7월 18일 03시 00분


《 “해삼보다 더 크고 징그럽다?” 환경단체들이 4대강 수질오염 때문에 ‘큰빗이끼벌레’가 출현했다는 주장을 하고 나섰습니다. 유속이 느린 곳이라면 수질 청정 지역에서도 발견된다며 ‘수질과는 관계없다’고 반박하기도 합니다. 논란이 계속되자 환경부도 생태환경 조사에 나서 유해성 여부를 파악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일로 4대강 사업 논란이 재점화된 분위기입니다. ‘큰빗이끼벌레’는 유해한 것일까요, 아닐까요. 서지은 우석대 에코바이오학과 교수와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등 두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봅니다. 》

▼“큰빗이끼벌레는 無害… 오염 아닌 가뭄 때문에 증가”▼

서지은 우석대 에코바이오학과 교수
서지은 우석대 에코바이오학과 교수
큰빗이끼벌레의 등장이 연일 화제가 되고 있다. 환경단체의 주장들을 보면 마치 우리나라에서 기존에 없던 새로운 생명체라도 발견된 듯 호들갑이다. 그들 이야기만 듣다 보면 이 벌레 때문에 곧 우리의 하천이 잠식되어 버릴 것만 같은 분위기이다.

하지만 큰빗이끼벌레로 대표되는 태형동물(이끼벌레류)은 194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전국에서 발견돼 왔다. 태형동물은 우리 주변에서 ‘휴면아’ 형태로 잠자고 있다가 생육조건이 맞을 시 발아하여 군체로 성장한다. 휴면아는 겉은 딱딱한 키틴질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는 세포덩어리를 포함하는 태형동물의 특수 구조를 말한다. 과거에도 해파리와 같이 징그러운 모습 때문에 사람들의 오해를 불러일으켰고, 여러 차례 언론에 보도되었던 적이 있었다.

이 벌레가 최근에 급증한 것은 맞다. 이유는 뭘까. 과거의 사례를 비추어 볼 때 극심한 가뭄과 이상고온에 있다 하겠다. 큰빗이끼벌레는 1994년과 2001년, 2004년의 봄여름철 갈수기에 대청호와 충북 옥천의 보청천 등지에서 지금처럼 많이 발견됐다.

올해는 6월 말에 시작되었어야 할 여름장마가 유례없이 지체돼 27년 만에 가장 늦게 찾아왔다. 그마저도 이렇다 할 큰비를 뿌리지 못하고 있다. 5, 6월의 충청지역 강수량은 평균 45mm로 평년 98mm의 46% 수준이며, 이로 인해 예당호와 탑정호 등 주요 저수지의 저수율이 30% 수준으로 말라붙어 가는 실정이다. 이로 인한 이상고온으로 태형동물 휴면아의 발아 시기와 속도가 빨라지고, 가뭄으로 물의 정체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동성이 없는 이 동물들이 쉽게 수면 밖으로 노출되어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4대강 사업에 따른 정체수역 증가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는 있다. 하지만 4대강 사업과 무관한 북한강 상류나 기존의 댐 저수지 정체수역에서도 최근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그 책임을 4대강 사업으로만 몰아붙일 수는 없다.

과연 이 벌레의 등장이 이렇게 온 국민을 불안감에 떨게 할 정도로 중대하고 큰 사건일까? 아니다. 환경부가 밝혔지만 독성이나 수질 오염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는 과거 여러 차례 전문가들의 연구를 통해 발표되기도 했다.

오히려 이 벌레는 맑은 물에서도 서식하고, 물고기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온라인 생명백과사전(eol.org)에 따르면 벌레들이 유기물을 섭취해 일시적으로 수질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고 한다. 다만 흉물스러운 생김새 때문에 겉모습만 보고 무조건 위험하고 독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불안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한다.

하천 생태계의 변화와 태형동물의 생태에 대한 현재와 같은 관심과 문제 제기는 있어야 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한 사람으로서 고마운 일이기까지 하다. 하지만 올해 같은 갈수기에 일시적으로 일어난 환경 변화를 장기간의 축적된 자료 없이 확대 해석하고, 그 원인을 성급하게 찾고자 하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우기를 거치고 기온이 낮아지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이 벌레는 다시 휴면아 형태가 되어 사라지게 될 것이고, 생육조건이 맞는 시기가 오면 또다시 군체로 성장하여 나타날 것이다.

중요한 것은 큰빗이끼벌레는 휴면아 형태로 그동안 늘 우리 곁에 있었으며 어느 생명체에도 해를 주지 않고 자신의 생활사를 반복, 유지해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의 자연스러운 반복이 또한 생태계의 한 부분인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화여대 생명과학과 이학박사로, 한국동물분류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국제태형동물학회 회원으로 2010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서지은 우석대 에코바이오학과 교수

▼“4대강과 무관하다면서 왜 감추나… 사업구간서 급증”▼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최근 언론에서 잇달아 보도된 태형동물 큰빗이끼벌레 사진은 사람들에게 ‘4대강의 현실’과 ‘4대강 사업의 실패’를 다시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환경단체들은 큰빗이끼벌레가 4대강 전체에서 이상증식하고 있음을 보고하고, 이를 이슈화하고자 했다. 여론의 반응도 뜨거웠다.

우선 비판론을 소개하면 “어떻게 환경단체가 외모지상주의를 유포할 수 있나?”, “이 생명체의 성질과 전혀 다른 선입관을 주입하는 것은 편의주의이고 선정주의”라는 것 외에 “생명체는 그 자체로 죄가 될 수 없다”며 환경단체의 공포마케팅이 잘못됐다는 지적들도 있었다. 필자는 낯선 생물에 대한 두려움은 인간이 자기방어를 위해 발달시켜 온 직관이며 자연스러운 감정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들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귀 기울이고 새기고자 했다.

반면 “4대강 사업과 무관하다”는 수자원공사나 일부 학자들의 주장은 의도적으로 논점을 이탈하거나 억지 논쟁을 부추기기에 받아들일 게 별로 없었다. 환경단체들은 큰빗이끼벌레가 4대강 사업 이후에 생겼다고 주장한 적이 없다. 4대강 사업 구간에서 폭증한 것을 밝히고, 그 원인을 4대강 사업으로 의심했을 뿐이다.

또 큰빗이끼벌레를 오염된 수질의 지표라고 하지도 않았다. 다만 정체된 수역에서만 성장하며 4대강이 보로 막혀 거의 흐르지 않아 이곳에서 번성한 것이라고 했다. 더 정확히는 벌레의 독성이 아니라 4대강이 멈추고 고이면서 녹조가 창궐하고 수질이 악화되는 물 환경을 우려했다.

벌레의 증가가 가뭄이나 수온의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는 데는 수긍할 수 없다. 여름철 4대강의 수온은 원래부터 큰빗이끼벌레가 성장하기에 충분했다(22도 이상). 하지만 수량이 적었던 과거에도 이번처럼 집단 출몰한 사례는 없었다. 오직 변화된 조건은 강물의 유속이 4대강 사업 이전보다 5분의 1 이하로 떨어진 것이며, 강이 호수가 됐다는 것이다.

4대강 사업을 추진했던 정부와 전문가들은 스스로에게 물어보시라. 4대강 보를 막으면 수량이 늘어 오염이 희석되기 때문에 수질도 개선되고 수온도 내려가게 될 것이란 주장은 어찌되었나. 22조 원을 들이며 개선한 효과가 지금 어디서 나타나고 있는가. 국민 대부분이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4대강에서 생태 대란이 나고, 심각한 수질 오염까지 발생한 마당에 책임 있게 발언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이는 왜 없는가.

산하기관과 전문가들로 큰빗이끼벌레 조사단을 구성했다는 환경부에도 묻고 싶다. 왜 환경단체들을 조사단에서 배제하고, 공개토론하지 않는가. 그렇게 조사한 결과가 국민에게 신뢰감을 주고, 논란도 잠재울 수 있을까? 수자원공사에도 묻고 싶다. 4대강 사업과 큰빗이끼벌레는 무관하다고 주장하면서, 왜 보트를 이용해 곳곳에서 벌레를 제거하고 있는가. 혹시 무엇을 숨기고 왜곡하려는 의도는 없는가.

대통령에게도 묻고 싶다. 4대강 사업의 철저한 조사와 평가를 공약했는데, 왜 4대강 사업에 비판적인 인사들은 배제한 채 4대강조사평가위원회를 구성했으며, 그나마도 운영하지 않고 있나. 지금도 14개의 댐 계획을 비롯해 4대강 사업 후속 사업들이 추진 중이고, 수공은 4대강 사업비조차 국민 세금으로 갚아 달라는데 그래도 괜찮은가.

우리는 큰빗이끼벌레를 향해 “너 여기 왜 나타났느냐”, “너의 존재 자체가 죄”라고 얘기할 수 없다. 하지만 5000만 명의 상수원인 4대강이 이들의 서식처가 되도록 한 정책에 대해서는 깊이 반성해야 한다. 강을 되살리기 위한 진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으로 20년째 환경운동을 해 왔다. 강과 하천 관련 의제들을 중점적으로 다뤄 왔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오피니언팀 reporter@donga.com
#큰빗이끼벌레#4대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