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흥의 오늘과 내일]서른 살이라서 더 걱정이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9일 03시 00분




한기흥 논설위원
한기흥 논설위원
공자가 이 땅에 다시 태어난다면 아마 삼십이립(三十而立)이란 말은 하지 않을 것 같다. 2500년 전엔 어땠는지 모르지만 요즘 서른 살에 학문이든, 생업이든 홀로 설 준비를 마친다는 건 어지간해선 쉽지 않다. 꿈은 많아도 그것을 이룰 준비는 덜 된 불안한 청춘이기 십상이다.

권력에 대한 집착과 성취욕이 강한 정치 지도자들도 그 나이 땐 미약했다.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전두환은 육군 대위였다. 김영삼은 3대 민의원 선거에서 28세로 당선된 초선 국회의원이었고, 김대중은 같은 선거에서 후보 10명 중 5등으로 떨어졌다. 북한의 김일성은 소련 극동군 제88국제여단의 대위였다. 1945년 10월 평양에서 ‘김일성 장군’으로 소개됐을 때가 33세였다. 김정일은 당 중앙위원회 위원이었으나 후계자로 확정된 것은 38세인 1980년 10월 제6차 당 대회 때였다.

새삼 서른 살 얘기를 꺼낸 것은 북의 지도자 김정은 때문이다. 1984년 1월 8일생인 그는 노동당 제1비서 및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권력의 정점에 있다. 삼대(三代) 세습의 결과라지만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후 ‘당과 국가, 군대의 최고 영도자’로 견고히 자리를 굳힌 과정을 보면 결코 나이로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

그가 공포의 숙청으로 고위 간부들을 납작 엎드리게 만든 데는 ‘백두 혈통’이라는 점이 큰 힘이 됐을 것이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신이 통치자는 금으로, 보조자는 은으로, 농부와 장인은 쇠와 구리를 섞어 만들었다며 계급을 분류했다. 버트런드 러셀은 이를 거짓말이라고 비판하면서도 “플라톤은 두 세대가 지나면 신화에 대한 신앙이 형성될 수 있다고 생각한 점에서 옳았다”고 평했다. 일본의 천황제를 예로 들었지만 그에 못지않은 게 항일운동을 벌인 김일성 신화일 듯하다.

김일성, 김정일 사망 때마다 제기됐던 북한붕괴론이 모두 빗나간 것은 북 체제의 응집력을 도외시했기 때문이다. 수십 년에 걸친 세뇌로 김씨 일가를 신처럼 받드는 북 주민들이 근거 없는 신화(myth)에서 깨어나는 데는 오랜 세월이 걸릴 것이다.

종신 권력을 쥔 김정은의 남북관계 시간표는 이제 임기가 3년 반 남은 박근혜 대통령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그는 언젠가는 조부 때부터의 유업인 적화통일을 반드시 실현하겠다는 야심을 키우고 있을 개연성이 크다. 격세유전(隔世遺傳)이 맞는다면 38세 때 6·25전쟁을 일으킨 김일성의 호전성을 물려받았을 수도 있다. 여건이 무르익을 결정적 시기를 기다릴 시간도 그에겐 충분하다. 이제 서른인 그가 지금 가진 것을 평생 지키는 데 만족하며 살 리 만무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7일 통일준비위원회 첫 회의에서 드레스덴 구상을 북이 ‘흡수통일 음모’라고 비난하는 것에 대해 “정부의 목표는 북한 고립에 있지 않다”며 평화통일을 거듭 강조했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김정은을 직접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 서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오해를 풀거나, 대비책을 세울 수 있다.

14일 방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를 빌고, 9월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에 북 선수단이 참가하는 것이 박 대통령으로선 임기 중 남북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핵무기를 가진 김정은이 혈기에 넘쳐 위험한 모험을 하지 않게 설득하기 위해서라도 진지한 대화를 제안했으면 한다. 광복절 경축사가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한기흥 논설위원 eligius@donga.com
#서른 살#김정은#권력#북한#통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