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세월호 수색 그 이후, 정부는 설득력 있는 방안 제시하라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9월 6일 03시 00분


김영석 해양수산부 차관이 그제 “세월호 실종자 수색 작업이 한계에 도달했을 때 대안으로 인양을 고려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기술적 검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제가 붙어 있긴 하지만 정부가 처음으로 수색 중단 가능성을 언급한 셈이다. 지금까지는 이주영 해수부 장관이 1일 “선체 인양은 수중수색이 끝나야 한다”고 언급한 것이 전부였다. 정부는 원론적 측면에서 언급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수색 중단과 인양 작업 가능성을 시사한 데는 여론의 향방을 알아보려는 뜻도 있을 것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144일이 지나는 동안 294구의 시신을 수습했다. 실종자는 10명이다. 7월 18일 이후 추가로 발견하지 못했다. 진도 앞바다 맹골수도에서는 그동안 잠수사들이 세월호의 모든 공간을 중복해 샅샅이 찾았다. 다인실(SP1) 하나가 격벽이 무너져 내린 장애물들을 치우는 작업 때문에 유일하게 수색을 마치지 못한 공간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내장재들이 수시로 내려앉고 수온도 내려가면서 언제 수색을 마칠 수 있을지 범정부사고대책본부도 예측을 못하고 있다.

아들딸이 차디찬 바닷속에 있다는 생각을 하면 수색을 포기하기 힘든 유족들 심정을 이해 못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지금도 사고해역엔 해군 해경 민간인을 포함해 100여 명이 매일 실낱같은 희망을 안고 수색작업에 참여한다. 하지만 다인실 수색을 하고 난 뒤에도 실종자를 다 찾지 못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해수부도 침묵하고 있다. 국제수색구조협약(SAR)은 침몰 선박에 대한 수색 시한을 ‘생존자 구조에 대한 모든 합리적 희망이 사라질 때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지금까지 수색작업에 투입됐던 잠수사 2명과 소방관 5명 등 10여 명이 소중한 생명을 잃었다. 세계 해난사(海難史)에 유례없는 수색작업을 안타깝지만 마무리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갈지를 논의할 때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세월호를 인양할 것인지, 아니면 이 해역을 수중무덤으로 선포하고 항구적 기억과 재난방지를 위한 추모공원으로 만들 것인지 정부는 유족과 국민의 의견을 모두 들어야 한다. 세월호 인양에는 시간이 1년 넘게 걸리고 비용도 최소 4000억∼5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굳이 인양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는 또 다른 사회적 갈등을 낳지 않도록 전문가 의견까지 종합해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세월호 참사#실종자 수색#수색 중단#인양 작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