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한상복의 여자의 속마음]<82>사랑과 광기 사이의 여성을 그린 영화 두 편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9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스티븐 킹의 원작 소설을 로브 라이너 감독이 영화화한 1990년작 ‘미저리(Misery)’에는 간호사 출신 여성이 등장한다.

그녀는 사고를 당한 소설가를 지극정성으로 돌본다. 음식을 먹여주고 귀한 물품까지 구해다주는 등 손과 발이 되어준다. 마치 엄마처럼. 소설가는 그녀의 도움으로 슬럼프에서 벗어나 다시 소설을 쓰게 된다.

그러나 몸이 회복되고 원고가 완성 단계에 이르면서 문제가 불거진다. 그녀는 그를 놓아줘야 한다는 현실을 거부한다. 그는 그럴수록 그녀에게서 벗어나려 한다.

급기야 그녀는 그의 회복된 다리를 다시 부러뜨려 탈출 의지를 좌절시키고 만다. 그렇게 해서라도 자기 곁에 두고 싶은 마음에서다. 주인공을 맡은 캐시 베이츠가 푸근한 ‘엄마 미소’와 광기 어린 무표정을 오가는 신들린 연기를 보여준다.

영화는 여성 특유의 사랑과 애착 혹은 집착과 광기가 크게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 있음을 ‘돌봐주고 싶은 욕구’ 혹은 ‘통제 강박’으로 조명해준다.

‘시네마 천국’으로 널리 알려진 주세페 토르나토레 감독의 2006년 작 ‘언노운 우먼(Unknown woman)’의 주인공 역시 범상치 않은 여성이다.

부유한 집에 가정부로 들어간 그녀는 부부가 입양한 어린 딸에게 이상할 정도로 집착한다. 툭하면 엄살을 부리고 떼쓰는 아이를, 부모가 없는 사이 꽁꽁 묶어놓고 넘어뜨리는 등 잔혹하게 다룬다.

학교에서 속수무책 따돌림을 당하던 아이는 곧 자기를 괴롭히는 악동들에게 맹렬하게 덤벼드는 슈퍼 소녀로 거듭난다. 그 모습을 몰래 훔쳐보며 웃는지 우는지 모를 묘한 표정을 짓는 그녀. 낳자마자 빼앗겼던 딸을 찾아 오늘에 이른 그녀의 과거가 밝혀진다.

그녀는 자기 딸일지 모르는, 또한 곧 헤어져야 하는 아이를 위해 섬뜩한 방법으로 ‘홀로 서는 법’을 가르쳐준 셈이다. 영화는 잔인하고 충격적인 장면이 많아 불편하기도 하다. 그러나 의문이 풀리는 순간 가슴이 먹먹할 정도로 애처롭다.

두 영화 여주인공의 차이점. ‘미저리’의 그녀는 사랑하는 이를 파괴해서라도 곁에 두고 보살피겠다는 의지를 실천한다. ‘언노운 우먼’의 그녀는 벼랑 끝으로 몰아서라도 아이를 홀로 서게 만드는 강인함을 보여준다.

출발점은 같은 사랑(모성)이지만 선택은 양쪽 극단이다. 한쪽은 소유를, 다른 한쪽은 독립을 지향한다. 현실의 여성들은 어느 쪽으로도 넘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잡아가며 외줄을 탄다. 너무 품으려다 반발에 부딪히지 않을까, 혹은 내버려두었다가 나약해지는 것은 아닐까, 전전긍긍한다.

그들에게 늘 걱정이 많은 까닭이다.

한상복 작가
#미저리#언노운 우먼#스티븐 킹#주세페 토르나토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